돌[石部]

웅황(雄黃, 석웅황)

한닥터 2015.03.09 조회 수 253 추천 수 0

웅황(雄黃, 석웅황)

성질은 평(平)하고 차며[寒] 맛은 달고[甘] 쓰며[苦] 독이 있다. 중악, 복통, 귀주를 낫게 하며 헛것에 들린 것, 나쁜 사기를 없앤다. 또 서루, 악창, 옹저, 치질, 궂은 살, 옴과 버짐, 익창을 낫게 하고 콧속의 군살, 힘줄이 끊어졌거나 뼈가 부서진 것을 낫게 하고 온갖 벌레독을 없애며 5가지 병기의 독과 박새뿌리독[藜蘆毒]을 풀 뿐 아니라 독사의 독을 잘 풀어 준다.

○ 석웅황을 차고 다니면 헛것이 가까이 오지 못하며 산 속으로 들어가면 호랑이도 숨어 버리며 큰 물이나 독한 물건에도 상하지 않는다고 했다.

○ 순순하여[純] 잡질[雜]이 섞이지 않고 닭의 볏같이 붉으면서 번쩍번쩍한 것이라야 쓸 수 있다. 또한 불에 태우면 근처의 벌레가 죽는 것이 진짜이다.

○ 깨끗하고 투명한 것은 석웅황이고 겉이 검은 것은 훈황(熏黃)이라 하는데 헌데와 옴에 쓴다[본초].

○ 산의 양지 쪽에서 캔 것은 석웅황이고 음지 쪽에서 캔 것은 자황(雌黃)이다. 그 빛이 닭의 볏처럼 붉고 투명한 것이 좋은 것이다. 보드랍게 가루내어 수비하여 약에 넣어 쓴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위령선(威靈仙, 으아리) 35
[돌[石部]] 식염(食鹽) 35
[돌[石部]] 불회목(不灰木) 35
[돌[石部]] 수포석(水泡石, 속돌) 35
[돌[石部]] 수중석자(水中石子, 물 속의 자갈) 36
[풀(草部)] 연교(連翹) 37
[돌[石部]] 석회(石灰) 37
[풀(草部)] 낭아(狼牙, 집신나물) 38
[풀(草部)] 저근(苧根, 모시풀뿌리) 지저즙(漬苧汁, 모시담갔던 즙) 38
[돌[石部]] 밀타승(密陀僧) 38
[돌[石部]] 백자설(白磁屑, 사기 부스러기) 38
[풀(草部)] 노근(蘆根, 갈뿌리) 39
[구슬[玉部]] 옥설(玉屑) 39
[돌[石部]] 현명분(玄明粉) 39
[돌[石部]] 풍화초(風化硝) 39
[돌[石部]] 청몽석(靑?石) 39
[풀(草部)] 낭탕자(??子, 사리풀씨) 40
[돌[石部]] 우여량(禹餘粮) 40
[돌[石部]] 망사(?砂, 노사) 40
[풀(草部)] 마두령(馬兜鈴, 쥐방울) 마두령근(馬兜鈴根, 마두령뿌리) 41
[구슬[玉部]] 진주(眞珠) 41
[돌[石部]] 비상(砒霜) 41
[나무[木部]] 무이(蕪荑, 참느릅나무열매) 42
[돌[石部]] 석종유(石鍾乳) 42
[돌[石部]] 아관석(鵝管石) 43
[풀(草部)] 하수오(何首烏) 44
[풀(草部)] 노화(蘆花, 갈대꽃) 44
[돌[石部]] 자석(磁石, 지남석) 44
[풀(草部)] 변축(?蓄, 마디풀) 45
[돌[石部]] 망초(芒硝)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