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石部]

석고(石膏)

한닥터 2015.03.09 조회 수 57 추천 수 0

석고(石膏)

성질은 차며[寒]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돌림병으로 머리가 아프고 몸에 열이 나는 것과 3초로 열이 몹시 나는 것, 피부열, 입이 마르고 혀가 타며 목구멍이 다는 증을 낫게 한다. 또 소갈증을 낫게 하고 해기(解肌)해서 땀을 내게 하고 위의 화[胃火]를 사한다.

○ 석고는 바위 곁에서 나며 바둑씨 같고 안팎이 온통 흰 것이 가장 좋다. 본래 옥같이 말갛고 결이 가늘며 희고 윤택한 것이 좋다. 누른 것은 임병을 생기게 한다[본초].

○ 수태음경과 수소양경, 족양명경에 들어간다. 위 속에 열이 있는 것, 열이 나는 것, 열을 싫어하는 것, 조열(燥熱), 오후마다 나는 조열, 저절로 땀이 나는 증 등을 낫게 한다[탕액].

○ 부스러뜨리고 갈아서 가루내어 생감초 달인 물에 수비하며 햇볕에 말리어 쓰거나 불에 달구어 갈아서 수비하여 쓴다[입문].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석고(石膏) by 한닥터
  2. 본초정리 석고(石膏)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기(氣)] 맥 보는 법[脈法] 945
[기(氣)] 기(氣)로부터 여러 가지 병이 생긴다[氣爲諸病] 1109
[기(氣)] 기는 가만히 있으면 막힌다[氣逸則滯] 1068
[기(氣)] 7기(七氣) 1404
[기(氣)] 9기(九氣) 1216
[기(氣)] 중기(中氣) 1241
[기(氣)] 상기(上氣) 1545
[기(氣)] 하기(下氣) 847
[기(氣)] 단기(短氣) 1301
[기(氣)] 소기(少氣) 1754
[기(氣)] 기로 생긴 통증[氣痛] 2072
[기(氣)] 기가 치미는 것[氣逆] 1248
[기(氣)] 기울(氣鬱)/기 1977
[기(氣)] 기가 부족하면 병이 생긴다[氣不足生病] 1116
[기(氣)] 기가 끊어진 증후[氣絶候] 864
[기(氣)] 꺼려야 할 것[禁忌]/기 759
[기(氣)] 약 쓰는 법[用藥法] 1744
[기(氣)] 기의 병증에 두루 쓰는 약[通治氣藥] 1860
[기(氣)] 단방(單方)/기 989
[기(氣)] 6자기결㈜(六字氣訣) 779
[기(氣)] 침뜸치료[鍼灸法]/기 902
[신(神)] 신은 온몸을 주관한다[神爲一身之主] 1060
[신(神)] 다섯 가지 맛에서 신이 생긴다[五味生神] 868
[신(神)] 심은 신을 간직하고 있다[心藏神] 984
[신(神)] 사람의 몸에 있는 신의 이름[人身神名] 874
[신(神)] 5장은 7가지 신을 간직한다[五藏藏七神] 974
[신(神)] 5장의 기[藏氣]가 끊어지면 신(神)이 겉부분에 나타난다[藏氣絶則神見於外] 792
[신(神)] 맥 보는 법[脈法]/신 1128
[신(神)] 신(神)이 7정(七情)을 거느리므로 신이 상하면 병이 된다[神統七情傷則爲病] 1346
[신(神)] 경계증[驚悸] 2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