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金部]

연(鉛, 납) 연상(鉛霜) 연분(鉛粉) 연회(鉛灰)

한닥터 2015.03.10 조회 수 88 추천 수 0

(鉛, 납)

성질은 서늘하며[ ]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마음을 진정시키고 정신을 안정하게 하며 반위, 구역, 딸꾹질과 뱀, 전갈한테 물린 독을 낫게 한다[본초].

○ 연과 주석은 북방임계(北方壬癸)에 속하고 극도에 다다른 음의 정기를 다 갖추었으므로 성질은 부드럽고 미끄러우며 음독(陰毒)이 많다. 많이 먹으면 사람의 심장과 위를 상하게 한다. 약에 넣을 때는 쇠냄비에 녹여서 새기왓장 위에 쏟아 찌꺼기를 버린다. 이렇게 두세번 해서 깨끗하게 하여 쓴다[입문].

○ 옛사람들이 금은 황금(黃金)이라 하고 은은 백금(白金)이라 하며 구리는 적금(赤金)이라 하고 연은 청금(靑金)이라 하며 쇠는 흑금(黑金)이라 하였다[본초].



연상(鉛霜)

성질은 차며[寒] 독이 없다. 담을 삭이고 경계증을 멎게 하며 술독을 풀어 준다. 또 열담[熱涎]이 가슴에 막혀 안타깝게 답답한 것[煩悶], 중풍으로 담이 성한 것과 어린이의 경풍을 낫게 한다.

○ 일명 연백상(鉛白霜)이라고도 하는데 그 제법은 연에 수은 15분의 1을 두고 섞은 다음 녹여 조각을 만들어 식초를 둔 항아리에 넣고 봉하여 오래 두었다가 서릿발처럼 올라 붙은 것을 긁어서 쓴다[본초].


연분(鉛粉)

성질은 차며[寒](서늘하다[ ]고도 한다)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복시(伏尸)나 독한 벌레에게 쏘인 것을 낫게 하고 3충을 죽이며 별가(鱉 )를 없앤다. 또 악창을 낫게 하며 유산시키고 징가, 적취, 오랜 이질로 감질이 된 것, 옹종에 누관[瘻]이 생기고 물크러지는 것을 낫게 한다.

○ 즉 지금 연을 녹여 만든 호분(胡粉)이다. 일명 정분(定粉), 일명 광분(光粉), 와분(瓦粉)이라고도 한다[본초, 탕액].

○ 호분은 즉 진짜 연분이다. 소주(韶州)에서 나는 것은 소분(韶粉)이고 정주(定州)에서 나는 것은 정분(定粉)이며 통틀어 말할 때 광분(光粉)인데 수렴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창자를 수렴하여 이질을 낫게 한다[성옹].


연회(鉛灰)

나력을 낫게 한다. 그 제법은 연 120g을 쇠그릇에 넣고 오래 닦으면 검은 재처럼 된 찌꺼기가 생긴다. 이 재를 거두어 돼지기름에 개어 붙인다[본초].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단방정리 납(蠟, 황랍) by HaanDoctor
  2. 동의보감 단방정리 호분(胡粉, 연분)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나무[木部]] 정향(丁香) 100
[채소(菜部)] 과자(瓜子, 참외씨) 99
[나무[木部]] 두충(杜仲) 99
[나무[木部]] 상실(橡實, 도토리) 상각(橡殼, 도토리껍질) 99
[채소(菜部)] 야첨과(野甛瓜, 들참외) 97
[풀(草部)] 청대(靑黛) 96
[채소(菜部)] 개자(芥子, 겨자씨) 96
[채소(菜部)] 괴이(槐耳, 홰나무버섯) 96
[풀(草部)] 호황련(胡黃連) 96
[풀(草部)] 여로(藜蘆, 박새뿌리) 95
[채소(菜部)] 과체(瓜蒂 , 참외꼭지) 94
[돌[石部]] 자석영(紫石英) 94
[채소(菜部)] 소산(小蒜, 달래) 93
[채소(菜部)] 월과(越瓜) 92
[풀(草部)] 양제근(羊蹄根, 소리쟁이 뿌리) 양제실(羊蹄實, 소리쟁이씨) 양제엽(羊蹄葉, 소리쟁이잎) 92
[나무[木部]] 만형실(蔓荊實, 순비기나무열매) 92
[나무[木部]] 몰약(沒藥) 92
[풀(草部)] 봉아술(蓬莪? , 봉출) 90
[금속[金部]] 영사(靈砂) 90
[풀(草部)] 감송향(甘松香) 88
[풀(草部)] 삭조(??) 접골목(接骨木) 88
[금속[金部]] 연(鉛, 납) 연상(鉛霜) 연분(鉛粉) 연회(鉛灰) 88
[나무[木部]] 자단향(紫檀香) 87
[풀(草部)] 홍초(紅草) 86
[채소(菜部)] 고호(苦瓠, 쓴 박) 85
[풀(草部)] 현호색(玄胡索) 85
[풀(草部)] 불이초(佛耳草, 떡쑥) 85
[나무[木部]] 고다(苦茶, 작설차) 85
[나무[木部]] 천축황(天竺黃, 참대속진) 85
[나무[木部]] 곡약(?若, 조리참나무잎)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