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한닥터

2018.03.02

신경과

일 도시 지역사회 노인들의 불면증 유병률 및 위험인자

조회 수 104 추천 수 0

일 도시 지역사회 노인들의 불면증 유병률 및 위험인자

Prevalence of Insomnia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안소현 , 최해경 , 김현진 , 김정란

간행물명 : 노인정신의학
권/호 : 노인정신의학 제19권 제1호 / 2015 / 32~39 (8pages)
발행기관 : 대한노인정신의학회
간행물유형 : 학술저널
주제분류 : 정신과학
파일형식 : PDF

초록

영어 초록
Objective: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insomnia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Methods:A cross-sectional survey examining a person’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including sleep, was administered among 1,500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All participants were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Results:We found that the overall prevalence of insomnia during the preceding month was 43.1%, including difficulty initiating sleep (27%) and difficulty maintaining sleep or early morning awakening (37.9%).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hronic diseases [odds ratio (OR) 2.42, 95% confidence interval (CI) 1.59-3.71], depression (OR 1.86, 95% CI 1.31-2.63), female (OR 1.63, 95% CI 1.27-2.10), suicidal ideation (OR 1.60, 95% CI 1.05-2.45), poor perceived health (OR 1.57, 95% CI 1.14-2.17), unemployment (1.51, 95% CI 1.13-2.03)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prevalence of insomnia.
Conclusion:Insomnia is prevalent among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and multiple psychosocial factors are associated with insomnia.

http://scholar.dkyobobook.co.kr.openlink.khu.ac.kr:8080/searchDetail.laf?barcode=4010024188413#

 

결과-

불면증의 유병률
전체 1,500명의 대상자 중 수면 시작의 어려움(DIS)이
있는 노인은 27%, 수면 유지의 어려움(DMS/EMA)이 있는
노인은 37.9%였고, 수면시작의 어려움과 수면유지의
어려움이 둘 다 있는 노인은 21.8%로 나타났다.
또한 수면 시작의 어려움이나 수면 유지의 어려움
중 둘중 어느 하나라도 있는 불면증은 43.1% 였다
(Table 1).

불면증과 관련 요인
그 결과, 여성은 남성보다 수면시작의 어려움,
수면 유지의 어려움, 그리고 불면증이 있을 위험이
약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5세 이상의 나이는
수면 유지의 어려움과 관련 있었으며, 현재 직업이
없는 노인들은 수면 유지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불면증과도 관련이 있었다.
신체상태와 불면증 증상은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것과
주관적으로 건강을 나쁘다고 인지하는 사람들은
수면 시작 및 유지의 어려움과 불면증을 각각
 1.5배 그리고 2배 이상 높이는 결과를 얻었다.
우울증과 자살사고 또한 불면증과 관련이 높았다.
그리고 우울증은수면시작의 어려움, 자살사고는
수면 유지의어려움과도 관련이있었다.
 
만성질환과 불면증
대상자들의 84.8%는 3개월이상 앓고 있는 만성질환이
있었고, 평균 약 2개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13
개의 질환 범주 중 추간판탈출증과 신장질환이 불면증과
관련이 높았으며, 관절염, 심장문제, 뇌혈관질환, 위장관계
질환, 천식등도 관련요인이었다. 또한 당뇨는 수면 시작의
어려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불면증 환자 치료중 1례 by 트레인
  2. 회원임상례 [등업용] 불면증에 완골혈 by 삼공재
  3. 회원임상례 체중저하를 동반한 불면증 by 한테매
  4. 임상 경험방 노인 식욕부진 by 한닥터
  5. 회원임상례 (등업용) 수면제 중단 후 불면증 환자 by 밤비밤비
  6. 저널 농촌지역 노인의 고혈압 유병율과 영양위험요인 by 한닥터
  7. 저널 어혈로 변증된 불면증 환자의 치험례 by 한닥터
  8. 회원임상례 (등업용) 불면증/공황장애 치료 by 의야
  9. 회원임상례 (등업용) 77세 노인여성 불면증 by 공이공
  10. 회원임상례 등업용) 불면증 치험례 by dbl *1
  11. 회원임상례 (등업용)불면증 우울증 양약 복용환자 청간소요산 복용후 호전 by 언니 *1
  12. 회원임상례 (등업용) 불면증 by 동건동석2 *1
  13. 회원임상례 (등업용) 48세 불면증 남환 by 불량과자 *1
  14. 회원임상례 증미이진탕을 이용한 화병치험 1례 by 기백 *1
  15. 보험 정보 황련해독탕 - 건강보험 적응증 by 한닥터
  16. 회원임상례 (등업용) 불면증 치료 by 브레인닥터 *1
  17. 침구 처방집 [월오] 夢 불면증,불면,식곤증,악몽 by 한닥터
  18. 태암 처방집 神經衰弱不眠證(신경쇠약불면증) 加味寧神湯(가미녕신탕) by 한닥터
  19. 한닥터 지식인 가미건심탕[加味健心湯] by 웅이아빠
  20. 회원임상례 불면증에...(등업용) by 골뱅이 *1
  21. 임상 경험방 불면증 - 가미자음영신전 by 한닥터
  22. 임상 경험방 조울증,불면증 - 서의창 - by 한닥터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 [피부과] 2도 화상 치험 1례 profile 한닥터 2018.04.12 234
68 [피부과] 영아 전완부 표재성 2도 화상 치험례 profile 한닥터 2018.04.12 415
67 [내과] 한국 성인 남성에서 갑상선 기능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2 profile 한닥터 2021.11.27 71
66 [신경과] 건강보험 급여한약처방 56종의 치매주요생리지표및 신경세포변화에 대한 효능 비교 연구 profile 한닥터 2018.10.17 602
65 [내과] 蔘歸茸湯이 정상 흰쥐 및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병 흰쥐의 혈당에 대한 영향 profile 한닥터 2019.01.15 107
64 [근골격계] 방아쇠 수지 환자의 신바로 약침 치험례 profile 한닥터 2019.06.05 227
63 [근골격계] 신바로 약침과 동작침법을 이용한 상부 관절와순 파열 환자 치험1례 profile 한닥터 2019.06.05 116
62 [근골격계]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에 속발한 대퇴경부 피로골절 환자에서의 보존적 치료 치험 1례 profile 한닥터 2019.10.18 116
61 [부인과]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인한 무월경, 희발월경 환자 20명의 증례 보고 profile 한닥터 2019.11.07 142
60 [부인과] 사제향부환을 투여한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 증례보고 profile 한닥터 2019.11.07 95
59 [내과] 발열 profile 한닥터 2019.11.22 85
58 [소아] 국내 소아성장 한약치료에 대한 고찰 profile 한닥터 2019.12.07 97
57 [내과] 계지복령환을 투여한 만성전립선염/만성골반통증후군 환자 증례보고 1례 profile 한닥터 2020.05.01 136
56 [근골격계] 한국어판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의 신뢰도와 타당도 profile 한닥터 2020.05.21 121
55 [근골격계] 극상근건염과 견봉하점액낭염 및 심각근하점액낭염으로 진단받은 견비통 환자를 대상으로 대용량 신바로 약침치료를 통한 통증경감과 가동범위 호전에 대한 증례보고 profile 한닥터 2020.05.21 87
54 [근골격계]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 대한 한글판 WOMAC Index의 신뢰도및 타당성에 관한 연구 profile 한닥터 2020.05.21 226
53 [근골격계] 반월상 연골판 손상을 동반한 내측 측부인대 부분파열 환자의 한방 치료 효과: 증례보고 profile 한닥터 2020.05.21 90
52 [오관과] 과체 토법을 병용한 돌발성 난청으로 인한 이명 환자 치험 1례 profile 한닥터 2020.06.08 76
51 [오관과] Stress로 인한 突發性 難聽(돌발성 난청)과 耳鳴(이명)을 主訴로 하는 太陰人 患者에 대한 症例報告 profile 한닥터 2020.06.08 91
50 [오관과] 耳鳴(이명)에 對한 臨床的 硏究 蔡炳允 (경희대학교 부속한방병원) profile 한닥터 2020.06.08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