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한닥터

2018.03.19

내과

급성 신부전을 동반한 급성 신우신염과 단순 급성 신우신염의 임상적 특징 비교

조회 수 787 추천 수 0

원저 : 급성 신부전을 동반한 급성 신우신염과 단순 급성 신우신염의 임상적 특징 비교

Original Articles : Clinical Features of Acute Renal Failure Secondary to Acute Pyelonephritis: Comparison with Uncomplicated Pyelonephritis

김성진 ( Sung Jin Kim ) , 권은희 ( Eun Hoe Kwon ) , 손정민 ( Jung Min Son ) , 김정희 ( Jung Hee Kim ) , 이동원 ( Dong Won Lee ) , 이수봉 ( Soo Bong Lee ) , 곽임수 ( Ihm Soo Kwak ) , 나하연 ( Ha Yeon Rha )
  • : 대한신장학회
  •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구 대한신장학회지) 22권2호
  • : 연속간행물
  • : 2003년 03월
  • : 213-218(6pages)


http://kiss.kstudy.com.openlink.khu.ac.kr:8080/thesis/thesis-view.asp?key=2050750


초록 보기

목적 : 급성 신우신염이 급성 신부전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며 1992년 Jones에 의해 12예가 보고된 바 있다. 당뇨, 요로계 폐쇄, 만성 신부전 등 기저 질환이 없는 상태에서 요로 감염은 만성적인 신 손상을 주지 않는다. 부산대학교병원에 내원한 급성 신우신염 환자 중 합병증으로 급성 신부전이 동반된 경우를 분석하여 임상적 특징과 상관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부산대학교병원에서 1995년 1월부터 2001년 5월까지 기저질환이 없는 환자 중 내원시 급성 신부전을 동반한 급성 신우신염 환자 8명을 조사하였다. 대조군으로 같은 기간에 합병증이 동반되지 않은 급성 신우신염 환자 20명을 임으로 선정하였고 양군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 평균 연령은 단순 신우신염군이 49.2±14.4세, 급성 신부전 동반군에서는 56.3±16.4세로 보다 높은 연령에서 발생하였다. 성별은 단순 신우신염군에서는 여성 90% (18/20), 남성 10% (2/20)이고 급성 신부전 동반군에서는 여성 62.5% (5/8), 남성 37.5% (3/8)이였다 (p=ns). 내원시 체온은 단순 신우신염군이 37.5±1.14℃, 급성 신부전 동반군은 36.62±0.32℃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낮았다 (p=0.003). 요 백혈구 지속기간, 늑골 척주각 압통 지속기간, 입원 기간 등이 급성 신부전 동반군에서 의미있게 연장되었다. 내원시 호소하는 늑골 척추각 압통부위는 단순 신우신염군에서는 편측인 경우가 65%로 많았으나 급성 신부전 동반군에서는 양측인 경우가 65%로 많았다. 24시간 요단백 배설량은 급성 신부전 동반 군이 2.99±2.89 g/day, 단순 신우신염군이 0.15±0.48 g/day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01). 급성 신부전 동반군의 요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24.04±15.98 mL/min이고 FEm-Na는 2.80±2.68이였다. 양군의 급성 신우신염 환자에서 급성 신부전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요 백혈구 지속기간 (r=0.579, p<0.01), 늑골 척추각 압통 지속기간 (r=0.461, p<0.05), 내원시 혈중질소요소/크레아티닌(r=0.644/0.722, p<0.01), 24시간 요 단백 (r=0.854, p<0.01), 입원기간 (r=0.694, p<0.01) 등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내원시 체온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0.402, p<0.05).

결론 : 급성 신부전을 동반한 급성 신우신염 환자는 단순 급성 신우신염 환자에 비해 요 백혈구 지속기간, 늑골 척추각 압통 지속기간이 길었고 체온은 낮았으며 보다 많은 24시간 요 단백이 검출되었다. 결론적으로 급성 신우신염은 급성 신부전의 드문 원인이지만 반드시 감별진단으로 고려해야 하며 즉각적인 항생제 치료에 의한 적절한 세균감염의 치료는 신기능의 완전 회복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 [근골격계] 기침으로 급성 악화된 요추 추간판 파열 환자의 대용량 약침 및 복합 한방치료 호전사례 1례 profile 한닥터 2020.08.20 113
48 [내과] 팔정산약침이 실험적으로 유발된 전립선 비대증 Rat에 미치는 영향 profile 한닥터 2018.02.22 112
47 [내과] 메디칼 에세이 :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 염, 전립선 암 1 profile 한닥터 2018.02.22 111
46 [근골격계] Ultrasonography of the Sural Nerve: Normal and Pathologic Appearances profile 한닥터 2021.01.06 108
45 [내과] 蔘歸茸湯이 정상 흰쥐 및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병 흰쥐의 혈당에 대한 영향 profile 한닥터 2019.01.15 107
44 [신경과] 일 도시 지역사회 노인들의 불면증 유병률 및 위험인자 profile 한닥터 2018.03.02 104
43 [오관과] 자생한방병원, 세포시험서 한약으로 ‘안면신경마비’ 치료 효과 입증 profile 한닥터 2021.05.17 102
42 [내과] 소화성 궤양에 대한 오패산의 치료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profile 한닥터 2021.10.09 101
41 [근골격계] 중둔건 석회화 건염의 초음파 유도하 정확한 조준에 의한 체외충격파치료 -증례 보고 profile 한닥터 2021.01.21 100
40 [내과] 전립선(前立腺) 비대증(肥大症)의 동서의학적(東西醫學的) 비교고찰(比較考察) profile 한닥터 2018.02.22 99
39 [오관과] 耳鳴(이명)에 對한 臨床的 硏究 蔡炳允 (경희대학교 부속한방병원) profile 한닥터 2020.06.08 97
38 [소아] 국내 소아성장 한약치료에 대한 고찰 profile 한닥터 2019.12.07 97
37 [근골격계] 한방치료로 호전된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 4례 보고 profile 한닥터 2021.04.16 96
36 [오관과] 눈과 입안 건조해지는 ‘쇼그렌증후군’, 새로운 연구결과는? profile 한닥터 2021.03.02 96
35 [내과] 야콘을 포함한 수종 천연물 처방의 전립선비대 증상 개선효과 profile 한닥터 2018.02.22 96
34 [부인과] 사제향부환을 투여한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 증례보고 profile 한닥터 2019.11.07 95
33 [근골격계] 신바로약침(신바로3), 다양한 염증인자 동시 억제로 항염증 효과 탁월 profile 한닥터 2021.05.11 94
32 [근골격계] 주관절 내, 외상과염에 대한 체외충격파 치료의 임상적 결과 profile 한닥터 2021.01.21 93
31 경희대, 자궁경부암 치료에 좋은 한약물 확인 profile 한닥터 2021.03.02 91
30 [오관과] Stress로 인한 突發性 難聽(돌발성 난청)과 耳鳴(이명)을 主訴로 하는 太陰人 患者에 대한 症例報告 profile 한닥터 2020.06.08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