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한닥터

2018.03.30

내과

불명열 환자의 원인 질환 및 악성종양 예측인자에 대한 분석

조회 수 138 추천 수 0

http://kiss.kstudy.com.openlink.khu.ac.kr:8080/thesis/thesis-view.asp?key=2769538


원저 : 불명열 환자의 원인 질환 및 악성종양 예측인자에 대한 분석

original Articles : Evaluation of fever of unknown origin and predictors for malignant disease

류성열 ( Seong Yeol Ryu ) , 허상택 ( Sang Taek Heo ) , 권기태 ( Ki Tae Kwon ) , 오원섭 ( Won Sup Oh ) , 백경란 ( Kyong Ran Peck ) , 송재훈 ( Jae Hoon Song )
  • : 대한내과학회
  • : Korean Journal of Medicine(구 대한내과학회지) 71권3호
  • : 연속간행물
  • : 2006년 09월
  • : 302-308(7pages)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 불명
열로 내원한 15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
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불명열의 진단은 1991년
Durack 등이 제시한 고전적 불명열의 기준을 만족하는
환자, 즉 수차례 이상 38.3℃ 이상의 발열, 적어도 3주 이
상의 발열기간, 3차례 외래 방문 혹은 입원 후 3일이 경
과하여도 원인을 찾지 못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 불명열 원인질환의 분포
전체적으로 감염질환이 불명열의 원인질환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감염질환이 37%, 결체조직
질환 16%, 악성질환 14%, 기타 12%, 진단되지 않은 경
우가 21%였고, 시기별로는 1차 기간의 불명열 56예의
원인질환은 감염질환이 41%, 결체조직 질환 20%, 악성
질환 14%, 기타 13%, 진단되지 않은 경우가 13%였으며,
2차 기간의 92예의 원인질환은 감염질환 33%, 진단되지
않은 경우 26%, 결체조직 질환 13%, 악성질환 13%, 기

타 11%였다. 시기별로 불명열의 원인 질환군의 빈도를
비교해 보면 2차 기간에서 진단되지 않는 군의 빈도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p=0.045). 감염 질환
중에서는 시대변화에 관계없이 결핵이 여전히 우리나라
에서 가장 흔한 감염질환이었고(표 2), 그 다음이 장티푸
스, 간담도계 감염 순이었으며, 결체 조직 질환의 경우
성인형 스틸씨병(Adult onset stills disease, 이하
AOSD), 혈관염 등의 순이었다. 악성질환의 경우 모두
비호치킨씨 림프종이었으며, 기타 원인에 의한 불명열은
기꾸치씨 병(Kikuchi's disease)과 인위열, 약열 순으로
높았다. 전체적으로 단일 질환으로 가장 흔한 불명열의
원인은 비호치킨씨 림프종(20예)이었고, 다음이 결핵(19
예), AOSD (10예) 순이었다.


============

37.4도 되는 열이 있는데 원인이 파악안되는 분이 한분계셔서 찾아보니 불명열기준까지는 안가는군요.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해열제에 반응하지 않고 오래 지속되는 미열(37-38도) by 찌질이 *1
  2. 보험 정보 복령보심탕 - 건강보험 적응증 by 한닥터
  3. 한의 상병명 해설 산후욕로(産後褥?) by 웅이아빠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 [내과] 지상강좌 : 갑상선 결절 profile 한닥터 2018.03.12 130
48 [내과] 농촌지역 노인의 고혈압 유병율과 영양위험요인 profile 한닥터 2018.04.04 135
47 [신경과] 어혈로 변증된 불면증 환자의 치험례 profile 한닥터 2018.03.02 136
46 [내과] 만성위염慢性胃炎에 對한 最近의 東西醫結合 診治槪況 profile 한닥터 2018.03.23 136
45 [내과] 계지복령환을 투여한 만성전립선염/만성골반통증후군 환자 증례보고 1례 profile 한닥터 2020.05.01 136
44 [근골격계] 침과 교감신경계 고찰:인체의 심박변이도를 중심으로 profile 한닥터 2017.05.26 138
[내과] 불명열 환자의 원인 질환 및 악성종양 예측인자에 대한 분석 profile 한닥터 2018.03.30 138
42 [내과] 黃芩芍藥湯 煎湯液이 血漿 Cortisol 및 鎭痛에 미치는 影響 profile 한닥터 2023.10.19 138
41 [신경과] 중풍환자의 불면에 대한 酸棗仁 單味(安心散)의 유효성 및 적응증 평가 1 profile 한닥터 2018.03.02 140
40 [부인과]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인한 무월경, 희발월경 환자 20명의 증례 보고 profile 한닥터 2019.11.07 143
39 [근골격계] 녹용약침으로 치료한 De Quervain`s Disease4례 증례보고 profile 한닥터 2023.10.11 143
38 [근골격계] 봉독약침과 녹용약침이 MIA 유도 골관절염 흰쥐에 미치는 영향 profile 한닥터 2023.10.12 145
37 [내과] 특집 : 노인 감염성 질환 ; 노인성 요로감염 profile 한닥터 2018.03.19 146
36 [내과] 蔘朮調中湯 및 蔘朮調中湯 合 三拗湯 煎湯液이 家兎의 血漿cortisol에 미치는 影響 profile 한닥터 2023.10.19 148
35 [내과] 의학강좌 : 개원의를 위한 모범처방 ; 여성과 갑상선 질환 profile 한닥터 2018.03.12 151
34 [약물] 엉겅퀴 발효 추출물을 통한 남성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 profile 한닥터 2018.03.16 152
33 [요법] 멀리건 테이핑과 다이아몬드 테이핑이 외측상과염 환자의 통증, 악력, 기능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profile 한닥터 2018.02.06 160
32 [약물] 황련해독탕 약침액과 전탕액이 Staphylococcus aureus와 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미치는 항균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profile 한닥터 2018.03.20 161
31 [피부과] 피판술 소견을 들은 손가락피부괴사 환자 한의학적 치료 사례 profile 한닥터 2022.08.19 161
30 [근골격계] 자하거 대용량 약침 및 한의학적 치료를 적용한 척추관 협착증 증례 보고 profile 한닥터 2020.12.09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