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한닥터

2018.03.30

내과

불명열 환자의 원인 질환 및 악성종양 예측인자에 대한 분석

조회 수 138 추천 수 0

http://kiss.kstudy.com.openlink.khu.ac.kr:8080/thesis/thesis-view.asp?key=2769538


원저 : 불명열 환자의 원인 질환 및 악성종양 예측인자에 대한 분석

original Articles : Evaluation of fever of unknown origin and predictors for malignant disease

류성열 ( Seong Yeol Ryu ) , 허상택 ( Sang Taek Heo ) , 권기태 ( Ki Tae Kwon ) , 오원섭 ( Won Sup Oh ) , 백경란 ( Kyong Ran Peck ) , 송재훈 ( Jae Hoon Song )
  • : 대한내과학회
  • : Korean Journal of Medicine(구 대한내과학회지) 71권3호
  • : 연속간행물
  • : 2006년 09월
  • : 302-308(7pages)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 불명
열로 내원한 15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
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불명열의 진단은 1991년
Durack 등이 제시한 고전적 불명열의 기준을 만족하는
환자, 즉 수차례 이상 38.3℃ 이상의 발열, 적어도 3주 이
상의 발열기간, 3차례 외래 방문 혹은 입원 후 3일이 경
과하여도 원인을 찾지 못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 불명열 원인질환의 분포
전체적으로 감염질환이 불명열의 원인질환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감염질환이 37%, 결체조직
질환 16%, 악성질환 14%, 기타 12%, 진단되지 않은 경
우가 21%였고, 시기별로는 1차 기간의 불명열 56예의
원인질환은 감염질환이 41%, 결체조직 질환 20%, 악성
질환 14%, 기타 13%, 진단되지 않은 경우가 13%였으며,
2차 기간의 92예의 원인질환은 감염질환 33%, 진단되지
않은 경우 26%, 결체조직 질환 13%, 악성질환 13%, 기

타 11%였다. 시기별로 불명열의 원인 질환군의 빈도를
비교해 보면 2차 기간에서 진단되지 않는 군의 빈도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p=0.045). 감염 질환
중에서는 시대변화에 관계없이 결핵이 여전히 우리나라
에서 가장 흔한 감염질환이었고(표 2), 그 다음이 장티푸
스, 간담도계 감염 순이었으며, 결체 조직 질환의 경우
성인형 스틸씨병(Adult onset stills disease, 이하
AOSD), 혈관염 등의 순이었다. 악성질환의 경우 모두
비호치킨씨 림프종이었으며, 기타 원인에 의한 불명열은
기꾸치씨 병(Kikuchi's disease)과 인위열, 약열 순으로
높았다. 전체적으로 단일 질환으로 가장 흔한 불명열의
원인은 비호치킨씨 림프종(20예)이었고, 다음이 결핵(19
예), AOSD (10예) 순이었다.


============

37.4도 되는 열이 있는데 원인이 파악안되는 분이 한분계셔서 찾아보니 불명열기준까지는 안가는군요.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해열제에 반응하지 않고 오래 지속되는 미열(37-38도) by 찌질이 *1
  2. 보험 정보 복령보심탕 - 건강보험 적응증 by 한닥터
  3. 한의 상병명 해설 산후욕로(産後褥?) by 웅이아빠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 [내과] 六味地黃湯과 八味地黃湯 煎湯液이 家兎의 血漿 Cortisol 濃度에 미치는 影響 profile 한닥터 2023.10.19 237
108 [신경과] 효과적인 우울증 치료를 위한 임상평가도구 profile 한닥터 2018.04.06 296
107 [약물] 황련해독탕 약침액과 전탕액이 Staphylococcus aureus와 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미치는 항균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profile 한닥터 2018.03.20 161
106 [요법] 한의학 학술지에 게재된 대상포진 임상논문에서 사용된 약침에 관한 고찰 profile 한닥터 2023.03.14 83
105 [요법] 한의사 약침 사용 실태 및 급여화 인식도 연구 profile 한닥터 2020.12.07 125
104 [근골격계] 한방치료로 호전된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 4례 보고 profile 한닥터 2021.04.16 96
103 [근골격계] 한방치료로 호전된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 4례 보고 profile 한닥터 2023.12.13 124
102 [근골격계] 한방 치료와 자하거약침을 병행하여 치료한 극상근건염 및 삼각근하 점액낭염 환자 4례 증례보고 profile 한닥터 2020.12.11 126
101 [신경과] 한국어판 알쯔하이머병 평가 척도의 임상적 유용성 profile 한닥터 2018.04.06 445
100 [근골격계] 한국어판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의 신뢰도와 타당도 profile 한닥터 2020.05.21 121
99 [내과] 한국 성인 남성에서 갑상선 기능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2 profile 한닥터 2021.11.27 71
98 [근골격계] 하지 심부정맥혈전증으로 인한 부종 및 통증에 계지복령환 투약과 침 요법을 포함한 한의 치료를 시행한 증례 1례 보고 profile 한닥터 2022.03.27 64
97 [피부과] 피판술 소견을 들은 손가락피부괴사 환자 한의학적 치료 사례 profile 한닥터 2022.08.19 161
96 [내과] 팔정산약침이 실험적으로 유발된 전립선 비대증 Rat에 미치는 영향 profile 한닥터 2018.02.22 112
95 [내과] 특집 : 당뇨병 환자의 고혈압 관리 profile 한닥터 2018.04.04 117
94 [내과] 특집 : 노인 감염성 질환 ; 노인성 요로감염 profile 한닥터 2018.03.19 146
93 [내과] 특집 : 고혈압 profile 한닥터 2018.04.04 469
92 [신경과] 특발성 파킨슨병·파킨슨증후군 환자 7례의 치료경과사례 고찰 profile 한닥터 2022.09.23 80
91 [근골격계]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 대한 한글판 WOMAC Index의 신뢰도및 타당성에 관한 연구 profile 한닥터 2020.05.21 226
90 [요법] 테니스 엘보를 가진 성인 여성의 비탄력성 테이핑 후 악력과 근활성도의 초기 변화 연구 profile 한닥터 2018.02.06 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