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한닥터

2020.08.20

근골격계

기침으로 급성 악화된 요추 추간판 파열 환자의 대용량 약침 및 복합 한방치료 호전사례 1례

조회 수 113 추천 수 0

기침으로 급성 악화된 요추 추간판 파열 환자의 대용량 약침 및 복합 한방치료 호전사례 1례

A Case Report on a Patient with Acute Herniated Lumbar Disc due to Coughing Treated with Megadose Pharmacopuncture and Combined Korean Medicine

류광현 (자생한방병원 한방내과) ,   문희영 ( 자생한방병원 한방내과) ,   주아라 ( 자생한방병원 한방내과) ,   추원정 ( 자생한방병원 한방내과) ,   최요섭 ( 자생한방병원 한방내과) ,   문영주 ( 자생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채지원 ( 자생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신원빈 ( 자생한방병원 침구과)

기침으로 급성 악화된 요추 추간판 파열 환자의 대용량 약침 및 복합 한방치료 호전사례 1례 - 저널명, 기관명, ISSN, 발행일, 권호, 페이지, 조회수, ISBN 정보 안내
저널명 대한한방내과학회지  기관명 대한한방내과학회 
ISSN 12269174  발행일 2019-12-30 
권호 제 40권 제 6호  페이지 1248-1258 
조회수 ISBN

 

 

https://oasis.kiom.re.kr/oasis/paper/pdetailView.jsp?idx=34284&srch_menu_nix=JI3a9m1H

고찰

본 증례는 일상생활 중 발생한 기존의 요추 추
간판 탈출증이 기침을 하고 나서 요추 추간판 파
열이 급성 악화된 환자의 증례이다. 발병 초기 적
극적으로 시행한 한방처치는 대용량 약침과 봉약침
치료였으며, 26일간의 입원치료와 3개월 간의 지속
적인 외래 치료로 대부분의 증상이 호전되었다.
앞서 제시한 대용량 약침과 봉약침 치료 연구를
바탕으로, 입원 치료 초기, 환자의 추간판 탈출로
인한 염증 및 통증을 신속하게 조절하기 위해 대
용량 약침을 적극 사용하였다. 입원 2주차(7월 29
일)까지 2-3일에 1회씩 대용량 약침을 사용하였고,
이외 다른 날에는 봉약침 치료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2주만에 하지부 방사통이 절반으로 호전
(NRS8→4), SLRT ROM 증가(30/15→60/50)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입원시, 입원2주차,
퇴원시 조사한 ODI값의 감소, EQ-5D값의 증가되
는 것을 확인하였고, 결과적으로 추간판 탈출의 급
성기에 대용량 약침과 봉약침 병용 치료가 환자의
통증 호전과 삶의 질 개선, 탈출된 추간판으로 인
한 염증 조절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퇴원 직전 촬영한 MRI 소견
(Fig. 3)을 바탕으로, 앞서 말한 치료가 탈출된 추

간판의 안정화 및 호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
다. 또한 MRI 소견상의 호전과 환자의 증상 호전
이 연관성이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용량 약침치료는 이번 증례의 초반 급성기와
후반기 증상 호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사
료된다. 추간판 수핵의 탈출이 발생하면 염증반응
이 나타나게 되는데, 수핵 물질 내에 포함된 독성
물질이 신경근에 직접 염증반응을 일으켜, 신경막
내외에서 부종이 일어나면서 혈행 장애와 신경차
단이 일어나고, 탈출된 추간판 물질이 수화되어 크
기가 증대됨에 따라 국소적 혈행장애와 신경압박
현상을 일으킨다18. 이러한 염증반응에 대한 신속한
항염증 효과와 통증 완화 효과를 위하여 주 등19은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대용량 약침 시술을 시행
하였고, 일반 약침과 통합치료를 병행했을 때보다
신속한 증상 호전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이
번 증례에서 초반의 급성 추간판 탈출로 인한 염
증 조절과, 치료 후반기 잔여 염증치료에 대용량
약침치료가 효과가 있었다고 사료되며, 하지부 방
사통 및 저림 증상을 동반한 제반 증상에 대하여
꾸준히 호전도를 높이는 데에는 봉약침이 효과가
있었다고 사료된다.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 [약물] 구조 유사도 분석법 활용 ‘군신좌사’ 유용성 입증 KAIST 이상엽 교수 연구팀, 관련 논문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게재 profile 한닥터 2015.03.20 2579
108 [내과] 최근 5년간 발생한 지역사회 획득성 급성 신우신염 환자의 임상적 양상과 원인균 및 항생제 감수성에 대한 고찰 1 profile 한닥터 2018.03.19 2333
107 [신경과] 인지기능 평가도구 - 한국노년신경정신약물학회 profile 한닥터 2018.04.06 2219
106 [내과] 중증 항생제 유발 설사 환자에 대한 香砂六君子湯 加減方 투여 1예 profile 한닥터 2015.01.23 1608
105 [내과] 원저 : 기종성 신우신염의 임상양상 및 예후 profile 한닥터 2018.03.19 1008
104 [내과] 급성 신부전을 동반한 급성 신우신염과 단순 급성 신우신염의 임상적 특징 비교 profile 한닥터 2018.03.19 787
103 [오관과] 방제학회 22권 2호-12 : 돌발성 난청 환자에서 발생한 이명의 한방 치험 1예 profile 한닥터 2015.01.23 639
102 [내과] 수면-각성이행에 초점을 둔 소아 야뇨증 치험 2례 profile 한닥터 2018.01.10 632
101 [신경과] 건강보험 급여한약처방 56종의 치매주요생리지표및 신경세포변화에 대한 효능 비교 연구 profile 한닥터 2018.10.17 602
100 [근골격계] 척추관 협착증 감별 진단 profile 한닥터 2015.04.07 559
99 [내과] 특집 : 고혈압 profile 한닥터 2018.04.04 469
98 [신경과] 한국어판 알쯔하이머병 평가 척도의 임상적 유용성 profile 한닥터 2018.04.06 444
97 [피부과] 영아 전완부 표재성 2도 화상 치험례 profile 한닥터 2018.04.12 415
96 [약물] 캐롭추출물의 남성 갱년기 개선에 관한 효과 profile 한닥터 2018.03.16 396
95 [약물] 작약관련 논문 2편 (등업용) 1 붉은들 2017.12.01 396
94 [요법] Deep Nerve Hydrodissection profile 한닥터 2017.11.17 390
93 [내과] 부신피질기능저하증에 대한 한의학적 치험 1례 profile 한닥터 2023.10.19 352
92 [약물] 實測에 의한 『方藥合編』 丸劑의 복용량에 관한 연구 1 profile 한닥터 2015.02.23 302
91 [신경과] 효과적인 우울증 치료를 위한 임상평가도구 profile 한닥터 2018.04.06 296
90 [약물] 비만 환자에 대한 조위승청탕의 효과 및 부작용에 관한 임상적 고찰 profile 한닥터 2019.04.30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