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약학

황백(黃柏, Hwang Baek) phellodendron bark Phellodendri Cortex KP CP JP

한닥터 2016.03.25 조회 수 25 추천 수 0

기원

황백나무 Phellodendron amurense Rupr.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주피를 벗긴 수피이다.


중국에서는 P. amurense, 黃皮樹(황피수) P. chinensis Schneid의 수피를 쓴다.

- 산초과 Rutaceae

- 건조한 것은 berberine 0.6% 이상을 함유한다.


산지: 한국, 중국, 일본


성분

Alkaloid 1-3%: berberine (isoquinoline alkaloid), palmatine, jateorrhizine, phellodendrine, cadicine, menispermine, magnoflorine, N-methyl-higenamine, canthin-6-one 등

Furoquinoline-type alkaloid: dictamine, g-fagarine, skimmianine(=b-fagarine)

Indolopyridoquinazolin type alkaloid: rutaecarpine, 7,8-dehydrorutaecarpine

Limonoid 고미질: obakunone, limonin 등.

Phenolic compound: (±)-lyoniresinol, syringin, coniferin, syringaresinol-di-O-β-D-glucopyranoside, sinapic aldehyde-4-O-β-D-glucopyranoside, vanilloloside, methyl 5-O-feruloyl-quinate, 3-O-feruloylquinic acid

Phytosterol:campesterol, β-sitosterol, 7-dehydrostigmasterol 및 이들의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잎]

Flavonoid: phellodensin A~C, amurensin, quercetin 3-O-β-D-glucoside, quercetin, kaempferol, kaempferol-3-O-β-D-glucoside, kaempferol-3-O-β-D-galactoside, phellamuretin, neophellamuretin, phellamurin 등

Coumarin: phellodenol A~C

Phenyllactate: (2R)-sodium 3-phenyllactate


약리

(1) 항미생물작용

• protoberberine류의 성분들은 칸디다균주들의 sterol과 chitin의 생합성을 억제하여 항진균 작용을 나타낸다 (in vitro).

• 주성분인 berberine에는 항균작용(황색 포도상구균, 적리균, 콜레라균, 임균 등), 항콜레라 독소작용이 있다.


(2) 수렴작용, 피하출혈흡수촉진작용 (외용)

• 콜레라균 및 대장균의 enterotoxin에 의한 소장내 수분 및 전해질 분비항진을 억제하는데, 이러한 작용은 황백의 지사작용 (수렴작용)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3) 항염증작용

• 황백의 성분 중에는 항산화작용이나 tyrosinase 억제활성 (미백작용)을 가지고 있는 성분들이 있다.

• 추출물은 TPA로 유도한 부종을 억제한다.


(4) 기 타

• 주성분인 berberine에는 항미생물작용 외에도 건위작용, 혈압강하작용, 근수축력증강작용(positive inotropic action), 항헤파린작용, 아세틸콜린 증강작용, 항염증작용, 해열작용, 담즙분비 및 빌리루빈 배출촉진작용, 혈청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이 있다. 또한, berberine은 caspase-3가 관여하는 경로를 통하여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촉진한다(in vitro, HL-60 cell).

• phellodendrine은 prednisolone이나 cyclophosphamide와는 달리 항체생산에는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나 이식거부반응을 억제한다 (in vivo, mouse). 즉, 체액성면역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세포성면역을 선택적으로 억제한다. 이러한 작용은

magnoflorine에도 있다.

• berberine을 함유하지 않은 분획에 항궤양작용이 있다 (in vivo, rat, mouse).


확인시험

(1) 가루 1g에 ether 10ml를 넣고 때때로 흔들어 섞으면서 10분간 방치하고 여과한다. 여과지 위의 가루를 모아 EtOH 10ml를 넣고 때때로 흔들어 섞으면서 10분간 방치한 다음 여과한다. 여액 2~3 방울에 염산 1ml를 넣고 H2O2 1~2 방울을 넣어 흔들어 섞을 때 액은 적자색을 나타낸다.

(2)(1)에서 얻은 에탄올액을 검액으로 한다. 따로 TLC용 염화 berberine 1mg을 메탄올 1ml에 녹여 표준액으로 한다. 이들 액을 가지고 TLC법에 따라 시험한다. 검액 및 표준액 5㎕씩을 TLC용실리카 겔을 써서 만든 박층판에 점적한다. 다음에 n-BuOH-H2O-AcOH(7:2:1)을 전개 용매로 하여 약 10cm 전개한 다음 박층판을 바람에 말린다. 여기에 자외선(주파장 365nm)을 쪼일 때 검액에서 얻은 몇 개의 반점 중 1개의 반점은 표준액에서 얻은 황색~황록색의 형광을 내는 반점의 색상과 Rf 값이 같다.

(3) 가루에 물을 넣어 저어 섞을 때 액은 점액으로 인한 겔상을 나타낸다.


규격: 건조감량 9.0% 이하(60℃, 8시간) 회분 7.5% 이하


응용: 고미건위, 정장, 소염성수렴약으로 위장염, 복통, 황달, 설사 등의 증상에 사용한다. 또한 타박상에 외용하기도 한다. berberine의 제조 원료


처방: 온청음 (溫淸飮),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치자벽피탕(梔子蘗皮湯),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


용량: 3~9g, 외용하기도 한다.


약전수재품목: 황백가루 (Pulvis Phellodendri Corticis, Powdered Phellodendron Bark)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황백(黃柏, Hwang Baek) phellodendron bark Phellodendri Cortex KP CP JP by 한닥터
  2. 동의보감 황벽(黃蘗, 황백) 황벽근(黃蘗根, 황경피나무뿌리) by 한닥터
  3. 약재 정보 황백(黃柏) by 한닥터
  4. 약재 정보 Cortex Phellodendron 황백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단방정리 황백(黃栢, 황경피나무껍질) by HaanDoctor
  6. 본초정리 황벽(黃蘗, 황백)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80 [생약학] 갈화 Puerariae flos KHP (葛花, Gal Hwa) pueraria flower 41
79 [생약학] 감초 Glycyrrhizae Radix KP CP JP (甘草, Gam Cho) glycyrrhiza, licorice root 45
78 [생약학] 강활 Osterici Radix KP CP JP (羌活, Gang Hwal) 40
77 [생약학] 고삼 Sophorae Radix KP CP JP (苦蔘, Go Sam) 25
76 [생약학] 괄루근 Trichosanthis Radix KP JP (括樓根, Gwal Ru Geun) 천화분(天花粉) trichosanthes root 21
75 [생약학] 길경 Platycodi Radix KP CP JP (桔梗, Gil Gyung) platycodon root 23
74 [생약학] 단삼 Salviae Miltiorrhizae Radix KP CP (丹蔘, Dan Sam) salvia miltiorrhiza root 25
73 [생약학] 당귀 Angelicae gigantis Radix KP CP (當歸, Dang Gwi) Korean angelica 31
72 [생약학] 일당귀 Angelicae Radix JP (日當歸, Il Dang Gwi) Japanese angelica root 26
71 [생약학] 당삼 Codonopsis Pilosulae Radix KHP CP (黨蔘, Dang Sam) 만삼(蔓蔘) 21
70 [생약학] 대극 Euphorbiae Pekinensis Radix KHP CP (大戟, Dae Geuk) 0
69 [생약학] 독활 Araliae Continentalis Radix KP CP (獨活, Dok Hwal) Aralia continentalis root 24
68 [생약학] 목향 Aucklandiae Radix KHP CP JP (木香, Mok Hyang) aucklandia root 24
67 [생약학] 방풍 Saposhnikoviae Radix KP CP JP (防風, Bang Pung) saposhnikovia root 26
66 [생약학] 백두옹 Pulsatillae Radix KHP CP (白頭翁, Baek Du Ong) 1
65 [생약학] 백미 Cynanchi Atrati Radix KHP CP (白薇, Baek Mi) 24
64 [생약학] 백부근 Stemonae Radix KHP CP (百部根, Baek Bu Geun) stemona root 24
63 [생약학] 백지 Angelicae Dahuricae Radix KP CP JP (白芷, Baek Ji) angelica dahurica root 24
62 [생약학] 삼칠 Notoginseng Radix KHP CP (三七, Sam Chil), 전삼칠(田三七), 전칠(田七), 금불환(金不換) notoginseng root 21
61 [생약학] 세네가 Senegae Radix KP JP senega, senega snake root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