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약학

가시오가피(刺五加, Ga Si O Ga Pi)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한닥터 2016.03.25 조회 수 45 추천 수 0

기원: 가시오가피나무

Acanthopanax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의 뿌리 및 뿌리줄기를 건조한 것이다.

- 오갈피나무과 Araliaceae

산지: 한국, 중국, 일본 및 러시아


Lignan: syringaresinol, acanthoside B(=syringaresinol monoglucoside), eleutheroside E(=syringaresinol diglucoside, acanthoside D, liriodendrin), (-)-sesamin

Triterpene: eleutheroside I (=mussenin B), eleutheroside K, eleutheroside L, eleutheroside M (=hederasaponin B)

Coumarin:eleutheroside B1(=isofraxidin-7-a-glucoside)

Flavonoid: antoside, kaempferitrin, kaempferol-7-rhamnoside, quercetin-7-rhamnoside, isoquercitrin 등

Phenylpropanoid: syringin (=eleutheroside B), chlorogenic acid, coniferin, coniferyl alcohol, caffeic acid 등


약리

(1) 강장작용

• 가시오가피의 주된 효과는 사포닌 성분의 강장작용이며 이 효과는 인삼이나 오가피보다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사포닌 성분은 심근경색을 예방하며, 고혈당증 동물에서 혈당강하작용을 나타낸다.

• (+)-syringaresinol-di-O-β-D-glucoside의 경우 실험동물 (rat)의 수영시간을 연장시킨다.

• eleutheroside A, B, B1, C, E에는 adaptogenic activity와 gonadotropic action이 있다.

• eleutheroside B는 alloxan으로 유도한 당뇨에 의해 유리되는 hexokinase의 activity를 억제하여 혈당을 낮추며, 동물실험에서 체력 및 번식력의 증강에 유효하다.


(2) 항염증작용

• 추출물은 피부과민성(mast cell-dependent anaphylaxis)과 히스타민의 유리를 억제한다 (설치류, in vivo, in vitro).

• 줄기껍질에서 분리된 liriodendrin을 경구투여하면 acetic acid로 유도한 혈관투과성의 증가가 억제되며 (mouse), carrageenan으로 유도한 발부위의 급성부종이 감소한다 (rat).

liriodendrin의 가수분해산물인 syringaresinol이 liriodendrin보다 NO와 PGE2, TNFα의 생성(LPS로 유도)을 더 강력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보아 liriodendrin이 syringaresinol로 전환되어 이러한 항염증, 진통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3)

• chlorogenic acid와 syringaresinol-di-O-β-D-glucoside는 스트레스에 의한 위궤양의 발생을 억제한다 (rat).


(3) 기 타

• 가시오가피의 배양세포에서 분리된 다당류는 TLRs (=toll-like receptors)에 작용하여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와 NFκB를 활성화시킴으로써 B 세포와 macrophage의 작용을 활성화한다 (면역강화작용, in vitro).

• 뿌리껍질의 추출물은 스트레스나 Parkinson병과 관련된 뇌조직에서의 noradrenaline과 dopamine의 양을 조절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 고온이나 과산화물, 중금속(구리, 카드뮴)과 같은 스트레스로부터 태아 (물뱀, Lymnaea stagnalis)를 보호한다.

• liriodendrin에는 진통작용이 있다.


응용: 강장, 강정, 진정약


용량: 3~9g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0 [생약학] 오약 Linderae Radix KHP CP (烏藥, O Yak) 24
39 [생약학] 용담 Gentianae Scabrae Radix KP CP JP (龍膽 Yong Dam) Korean gentian, Japanese gentian 25
38 [생약학] 겐티아나근 Gentianae Radix KP JP gentian, gentian root 0
37 [생약학] 진교 Gentianae Macrophyllae Radix KHP CP (秦艽, Jin Gyo) 진범(秦芃) 25
36 [생약학] 우슬 Achyranthis Radix KP CP JP (牛膝, U Seul) 23
35 [생약학] 울금 Curcumae Longae Radix KP CP (鬱金, Ul Geum) curcuma root, turmeric 28
34 [생약학] 원지 Polygalae Radix KP CP JP (遠志, Won Ji) polygala root 24
33 [생약학] 위령선 Clematidis Radix KHP CP (威靈仙, Wi Ryeong Seon) 12
32 [생약학] 은시호 Gypsophilae Radix KHP CP (銀柴胡, Eun Si Ho) 1
31 [생약학] 인도사목 Rauwolfiae Radix KHP (印度蛇木, In Do Sa Mok) rauwolfia, indian snakeroot 21
30 [생약학] 인삼 Ginseng Radix Alba KP CP JP (人蔘, In Sam) ginseng 23
29 [생약학] 홍삼 Ginseng Radix Rubra KP CP JP (紅蔘, Hong Sam) red ginseng 21
28 [생약학] 자근 Lithospermi Radix KP CP JP (紫根, Ja Geun) lithospermum root 28
27 [생약학] 작약 Paeoniae Radix KP CP JP (芍藥, Jak Yak) peony root, paeony root 27
26 [생약학] 전호 Angelicae Decursivae Radix KHP CP (前胡, Jeon Ho) 26
25 [생약학] 지유 Sanguisorbae Radix KHP CP (地楡, Ji Yu) 24
24 [생약학] 지황 Rehmanniae Radix KP CP JP (地黃, Ji Hwang) rehmannia root 22
23 [생약학] 갈화 Puerariae flos KHP (葛花, Gal Hwa) pueraria flower 41
22 [생약학] 감초 Glycyrrhizae Radix KP CP JP (甘草, Gam Cho) glycyrrhiza, licorice root 45
21 [생약학] 강활 Osterici Radix KP CP JP (羌活, Gang Hwal)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