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약학

지황 Rehmanniae Radix KP CP JP (地黃, Ji Hwang) rehmannia root

한닥터 2016.03.22 조회 수 22 추천 수 0

기원

지황 Rehmannia glutinosa Libosch. var. purpurea Makino 의 뿌리이다.

- 현삼과 Scrophulariaceae


중국

地黃(지황) R. glutinosa Libosch. var. hueichingensis Chao et Schih의 뿌리, 


일본 

R. glutinosa Libosch. var. purpurea Makino와 R. glutinosa Libosch.의 뿌리.


성분

Iridoid: catalpol, leonuride, aucubin, melittoside, rehmannioside A~D, geniposide, jioglutoside A, B, ajugoside, ajugol, 8-epiloganic acid, 6-O-E-feruloyl ajugol, 6-O-Z-feruloyl ajugol 등

Norcarotenoid: trihydroxy-β-ionone, sec-hydroxyaeginetic acid, dihydroxy-β-ionone, aeginetic acd 등

Sesquiterpene: 1-(4-methyl-2-furanyl)-2-(5-methyl-2-furanyl)-2-(5-methyl-2-ethenyl-2-tetrahydro furanyl)-propan-1-one

Caffeoyl glycoside: acetoside, forsythiaside, desrhamnosylacetoside 등

당류: stachyose, raffinose, sucrose 등

기 타: mannitol, amino acid류

탄수화물의 조성에 있어서 건지황과 숙지황의 경우, 생지황에 가장 많이 들어 있는 stachyose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에, manninotriose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다. 또한 iridoid 배당체와 catapol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다.


약리
(1) 순환기계에 대한 작용
• 일반적으로 강심, 이뇨, 혈당강하작용이 알려져 있다.

(2) 뇌세포보호작용
• 생지황의 물추출물은 1차배양한 마우스 뇌조직 세포 (astrocyte)에 대하여 substance P와 LPS로 자극한 TNFα와 interleukin-1 (IL-1)의 분비를 억제한다.

규격
이물 줄기, 토사 등 이물이 섞여 있지 않아야 한다. 회분 6.0% 이하 산불용성회분 2.0% 이하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지황 Rehmanniae Radix KP CP JP (地黃, Ji Hwang) rehmannia root by 한닥터
  2. 약재 정보 생지황(生地黃) by 한닥터
  3. 약재 정보 숙지황(熟地黃) by 한닥터
  4. 약재 정보 지황(地黃) by 한닥터
  5. 약재 정보 Radix Rehmanniae 지황 by 한닥터
  6. 동씨침 경혈 상삼황(천황,지황,명황) by HaanDoctor
  7. 동씨침 경혈 하삼황 (천황 지황 인황)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580 [가] 곽향(藿香) 2098
579 [탕액편] 근, 량, 되, 말[斤兩升斗] 2087
578 [사] 생강(生薑) 건강(乾薑, 마른생강) 2083
577 [아] 율자(栗子, 밤) 율피(栗皮, 밤껍질) 율모각(栗毛殼, 밤송이) 건율 2063
576 [바] 반석(礬石, 백반) 2004
575 [하] 사초근(莎草根, 향부자) 2003
574 [아] 연실(蓮實, 연밥) 연자(蓮子, 연밥) 연자육(蓮子肉, 연밥) 2001
573 [가] 감초(甘草) 1997
572 [바] 백렴(白 , 가위톱) 1996
571 [탕액편] 5장을 보하거나 사하는 것[五藏補瀉] 1967
570 [다] 대맥얼(大麥蘖, 보리길금) 맥아(麥芽) 1964
569 [바] 반하(半夏, 끼무릇) 1941
568 [가] 고본(藁本) 1926
567 [바] 복분자(覆盆子, 나무딸기) 1913
566 [다] 독활(獨活, 따두릅) 1838
565 [바] 백출(白朮, 흰삽주) 1822
564 [바] 백부자(白附子, 노랑돌쩌귀) 1802
563 [사] 소엽,자소(紫蘇, 차조기) ,자소엽(紫蘇葉, 차조기잎) 1801
562 [차]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길짱구의 잎과 뿌리) 1792
561 [아] 인진호(茵陳蒿, 생당쑥) 1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