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약학

단삼 Salviae Miltiorrhizae Radix KP CP (丹蔘, Dan Sam) salvia miltiorrhiza root

한닥터 2016.03.17 조회 수 25 추천 수 0

기원

단삼 Salvia miltiorrhiza Bunge 의 뿌리이다.

-꿀풀과 Labiatae


성분

Diterpenoid: tanshinone I, II, IIA, IV, oleoyl neocryptotanshinone, oleoyl danshenxinkun, neocryptotanshinone, dihydrotanshinone I, danshenxinkun A, B, neocryptotanshinone II, 6,12-dihyd-roxyabie-ta-5,8,11,13-tetraen-7-one

Phenolic compound: rosmarinic acid, lithospermic acid A, B, sal-vianolic acid A, B 등

Alkaloid: salviamiltamide, 3-(3',4'-dihydroxyphenyl)-(2R)-lactamide


약리

(1) 순환계에 대한 작용 (혈관확장, 심장질환치료)

• tanshinone I과 IV, cryptotanshinone은 심근의 허혈 (ischemia)에 의한 합병증을 예방하며 (적출심장, rabbit), 주사액은 관상동맥을 확장하고, 혈압을 내린다 (적출심장, guinea pig, rabbit).

• tanshinone VI는 일시적인 허혈 (hypoxia/reoxygenation injury)로부터 심근을 보호해 주며, insulin-like growth factor-1으로 유도한 심근의 섬유화과정을 늦춘다(in vitro).

• 물추출물과 Danshensu는 homocysteine으로 인한 혈관상피세포의 이상기능을 억제한다(in vitro, HUVEC).

• 추출물은 선천성 심장질환환자에 bypass 시술 후에 나타나는 endothelin-1과 thromboxane B2의 증가를 줄인다 (in vivo).


(2) 간세포보호작용

• 물추출물은 세포질내의 p53을 제거함으로써 담도결찰로 인한 간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한다(rat).

• 추출물은 세포내 thiol을 고갈시키고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를 초래하며 활성산소의 생산을 증가시킴으로써 간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in vitro, human hepatoma HepG2 cells).

• 추출물은 aflatoxin-B1으로 유도한 간암발생을 억제한다 (rat)

• 물추출물은 담관결찰로 인한 간문맥에서의 고혈압증상과 간섬유화를 개선한다 (rat).


(3) 뇌세포보호작용

• salvianic acid A는 MPP+(1-Methyl-4-phenylpyridinium ion)로 유도한 세포독성으로부터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을 보호한다 (in vitro).

• 물추출물은 흰쥐 신경교세포에서의 유도된 superoxide의 생성을 억제하고, dopamine의 유리를 촉진한다 (in vitro).

• tanshinone는 허혈성손상 (focal cerebral ischemia)으로부터 대뇌조직을 보호한다 (in vivo,mouse).


(4) 항암작용

• tanshinone의 유도체인 compound 278E는 암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고 c-myc나 c-fms, c-jun, c-fos와 같은 proto-oncogene의 발현을 조절한다 (in vitro, HL-60 cells).

• tanshinone은 P388 lymphocytic leukemia cell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며 C-15위치의 이중결합과 A환의 단일결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in vitro).

• dihydrotanshinone I은 여러 가지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낸다 (in vitro).


(5) 알코올섭취억제작용

• miltirone은 알코올섭취중단으로 인해 나타나는 해마부위의 GABAA receptor α4 subunit mRNA의 발현증가를 억제한다 (in vitro).

• 추출물(IDN 5082)은 음주습관의 취득을 늦춘다 (rat).

• 알코올 중독의 치료에 유효하다 (in vivo, animal model).


(6) 기 타

• 진정, 진통작용:물추출물에는 진정작용이 있어 barbiturate에 의한 수면시간을 연장한다. 진통작용도 있다.

• 항세균, 항진균작용: diterpenoidal quinone류에는 항산화작용이 있고,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며 여러 가지 피부진균에 효과가 있다. 수침액(1:3)은 각종 피부진균의 성장을 억제한다.

• 항염증작용: tanshinone류는 LPS로 유도한 NO생성의 초기단계에 작용하여 NO의 생성을 억제하며 (in vitro, RAW 264.7 cells), LPS로 유도한 IL-12와 interferon-γ의 생성을 억제한다(in vitro).

• 항알러지작용: 물추출물은 IgE가 매개하는 알러지반응을 억제한다 (in vitro).

• salvianolic acid B는 피부조직의 혈관신생작용을 촉진하여 일시적인 허혈(성형수술 등으로 인한)로 인한 피부조직의 손상을 개선한다 (in vivo, rat).

• tanshinone IIA는 파골세포(osteoclast)의 분화와 뼈의 재흡수를 억제한다 (in vitro).

• lithospermic acid A, B는 HIV-1 integrase를 선택적으로 억제한다 (in vitro, enzyme assay,cellular assay).

• 서양에서는 진정, 살균, 강심(심울혈이나 심부종에 사용)효과가 알려져 있고 특정 심장질환에 사용해 왔다.


확인시험

가루 1.0 g에 EtOH 10 ml를 넣어 잠깐 끓여서 여과한 여액은 등황색을 나타내고, 이 여액에 묽은 H2SO4 1ml와 Zn 가루 0.5 g을 넣어 잠시 방치하면 황색으로 변한다.


규격

건조감량 12.0% 이하 회분 4.0% 이하 엑스함량 묽은 에탄올엑스 25.0% 이상


응용: 활혈, 조경, 소종, 진통약으로 월경부조 (月經不調), 복통, 경폐 (經閉), 산후의 오조복통(惡阻腹痛), 류머티즘 등에 사용한다.


처방: 단삼산 (丹蔘散), 단삼탕 (丹蔘湯)


용량: 6~15g을 달여서 먹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단삼 Salviae Miltiorrhizae Radix KP CP (丹蔘, Dan Sam) salvia miltiorrhiza root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단삼(丹參) by 한닥터
  3. 명의방론 13. 단삼 by 한닥터
  4. 본초정리 단삼(丹參) by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