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기(防己)

한닥터 2009.06.28 조회 수 1743 추천 수 0

 

방기(防己)

 

성질은 평(平)하고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 쓰며[辛苦] 독이 없다. 풍, 습으로 입과 얼굴이 비뚤어진 것, 손발이 아픈 것, 온학과 열기를 낫게 하며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수종(水腫), 풍종(風腫), 각기(脚氣)를 눗農한다. 방광열을 없애며 옹종에 심하게 멍울이 진 것을 삭히고 여러 가지 와창( 瘡), 옴과 버짐, 충창(蟲瘡)에 쓴다.

○ 방기는 본래 한중(漢中)에서 나는데 수레바퀴살(車輻解)을 만든다. 열매는 노랗고 여물면 향기롭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 그늘에서 말린다. 푸르면서 흰빛이고 무게가 가뿐한 것을 목방기(木防己)라 하며 전혀 쓰지 못한다[본초].

○ 태양경 본경의 약으로서 12경맥을 잘 통하게 한다. 술에 씻어 껍질을 버린다.

○ 폐의 병을 낫게 하는 데는 생것을 쓴다. 화주(華州)에서 나는 것은 한쪽 끝으로 불어서 공기가 속대를 따라 나가는데 으름덩굴(목통)의 종류와 같다[입문].

○ 방기는 혈 속의 습열(濕熱)을 사한다[동원].

 

방기(防己) 단방


[脈]         12경맥을 통하게 해준다. 방기를 물에 달여 먹는다[탕액].

[濕]        습과 풍으로 입과 얼굴이 비뚤어지는 것을 치료할 수 있다. 으름덩굴(목통)과 효능이 같다. 방기를 썰어서 달여 먹는 것이 좋다[본초].


[膀胱腑] 방광에 있는 열을 없앤다.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관련된 글
  1. 저널 독성 문제가 제기된 한약에 대한 오해와 실제 by 한닥터 *1
  2. 본초정리 방기(防己, Sinomeni Caulis et Rhizoma) by 한닥터
  3. 약재 정보 방기(防己, Sinomeni Caulis et Rhizoma) by 한닥터
  4. 약재 정보 방기(防己)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방기(防己) by 한닥터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60 [하] 현호색(玄胡索) 1222
459 [타] 통초(通草)으름덩굴 1218
458 [아] 애엽(艾葉, 약쑥잎) 1217
457 [아] 아교(阿膠) 1217
456 [아] 음양곽(淫羊藿, 팔파리) 1211
455 [사] 사향(麝香) 1206
454 [탕액편]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1205
453 [마] 만형자(蔓荊子, 순비기열매) 만형실(蔓荊實, 순비기나무열매) 1198
452 [탕액편]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不見火藥] 1192
451 [아] 울금(鬱金) 1179
450 [타] 택사(澤瀉) 1175
449 [탕액편] 우담남성을 만드는 방법[製牛膽南星法] 1174
448 [탕액편]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1164
447 [탕액편] 상반약(相反藥) 1161
446 [탕액편]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1150
445 [탕액편]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1144
444 [탕액편] 찐지황을 만드는 방법[作熟地黃法] 1139
443 [탕액편]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1129
442 [탕액편] 환육(?肉, 너구리고기) 1124
441 [탕액편] 참대기름을 내는 방법[取竹瀝法] 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