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감+요결

구설[鍼灸法] + 口病門 [사암침구요결]

HaanDoctor 2008.02.09 조회 수 132 추천 수 0

口舌門 [鍼灸法]

입 안이 헌데는 승장(承漿), 합곡(合谷), 인중(人中), 장강(長强) 혈에 놓는다. 또는 금진(金津), 옥액(玉液) 혈을 침으로 찔러 피를 빼도 된다[강목].

○ 또는 위중혈에 놓고 후계(後谿)혈을 사(瀉)해도 된다. 그것은 이 두 혈이 심화(心火)와 신수(腎水), 두 경맥의 표(表)이기 때문이다[강목].

○ 또는 담유(膽兪), 소장유(小腸兪) 혈에 뜸을 각각 7장씩 뜬다. 그리고 태충(太衝), 노궁(勞宮) 혈에 침을 놓아도 된다[동원].

○ 혀가 부어 말하기가 힘든 데는 염천(廉泉)혈과 금진(金津), 옥액 혈을 삼릉침으로 찔러 피를 빼낸 다음 천돌(天突), 소상(少商), 연곡(然谷), 풍부 혈에 놓는다[강목].

○ 혀가 가드라드는[券] 데는 액문(液門)과 이간(二間) 혈에 놓는다[강목].

○ 혀가 늘어지면서 침을 흘리는 데는 음곡혈에 놓는다[강목].

○ 혀가 가드라들었으면 아문( 門)혈에 놓고 혀가 늘어졌으면 풍부혈에 놓는다[자생].

○ 대체로 혀가 몹시 부었을 때에는 먼저 혀 끝이나 혓바닥이나 혀의 양쪽에 침을 놓아 피를 빼내야 한다. 혀 밑에 있는 염천혈에 침을 놓는 것을 금해야 한다[회춘].

○ 긴순(緊脣)으로 입을 벌렸다 다물었다 하지 못할 때에는 손의 호구(虎口)에 뜸을 뜨는데 남자는 왼쪽에 여자는 오른쪽에 뜬다. 또는 승장(承漿)혈에 뜸을 3장씩 떠도 된다[득효].

○ 대체로 혀가 부었을 때에는 혀 밑에 반드시 입을 다문 벌레 같은 것이 있는데 마치 도루래(누고)나 누운 누에(와잠) 같으면서 대가리와 꼬리가 있다. 그런데 대가리는 좀 허옇다. 쇠젓가락을 달구어 대가리를 지지면 곧 낫는다[삼인].

○ 혀가 부어서 돼지 오줌통(저포)같이 되었을 때에는 침으로 혀 밑의 양쪽에 있는 큰 핏줄을 찔러서 피를 빼면 곧 내린다. 한가운데 있는 맥은 절대로 찌르지 말아야 한다. 여기를 찔러 피가 멎지 않고 나오면 죽는다. 만약 잘못해서 찔렀을 때에는 구리젓가락을 달구어 지져야 한다. 혹은 식초에 백초상을 개어 붙여도 저절로 낫는다. 이렇게 앓은 사람들이 많으나 이것을 알지 못해서 치료를 하지 못해 죽은 것도 있다[득효].

口病門

1. 口中生瘡
【見證】입속이 헌 것.
【療法】液門 中渚 補, 承漿 勞宮 瀉.

2. 脣吻不收(吻=입술 문)
【見證】입술을 잘 다물지 못하는 證.
【療法】頰車 三里 補.

3. 重舌
【見證】혀 밑창에 덧 혀가 생기는 證.
【療法】陰谷 曲泉 補, 間使 瀉.

4. 下脣
【見證】문자 그대로 下脣에 생긴 모든 病.
【療法】章門 補, 少府 瀉, 太白 斜.

5. 上脣病
【見證】문자 그대로 上脣에 생긴 모든 病.
【療法】三里 中脘 補, 解溪 上廉 瀉.

6. 舌裂
【見證】문자 그대로 혀바닥이 갈라지는 것.
【療法】液門 補, 中渚 瀉.

7. 落 (落下  = 아랫턱이 탈骨된 것)
【見證】腎, 肺의 虛損, 元神不足, 或은 談笑忘倦으로 元氣의 接續이 不能하게 되어 아래턱이 별 안간 下落하는 것.
【療法】下關 合谷 三里 左右 補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0:53)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축심여]오관과 병증 by 한닥터
  2. 임상 경험방 [대총경절] 구설口舌 질환 by 한닥터
  3. 한의 상병명 해설 구창(口瘡) by 웅이아빠
  4. 한닥터 지식인 가감양격산[加減凉膈散] by 웅이아빠
  5. 한닥터 지식인 가감감로음[加減甘露飮] by 웅이아빠
  6. 임상 경험방 구창 - 양격산화탕 by 한닥터 *1
  7. 침구 처방집 언어[鍼灸法]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123 [사암침] [월오] 背 갑상선,기능항진,기능저하,목디스크,경항통 246
122 [사암침] [월오] 胸 심장판막증,심근비대,심계,귀흉,귀배,협심증,간적,폐적,간경화,간염,딸꾹질,트럼 325
121 [사암침] [월오] 腹 간적,심적,비적,폐적,신적,위염,위궤양,조잡,급체,멀미,창만,복통 829
120 [사암침] [월오] 腰 요통,허리디스크 809
119 [사암침] [월오] 脇 협통,좌협통,우협통,옆구리 269
118 [사암침] [월오] 皮/肉 대상포진,화상,동상,자상,통풍,사마귀,백반증,알레르기자반증,황달,튼살,두드러기,단독,아토피 468
117 [사암침] [월오] 筋 근무력증,루게릭,근위,맥위,위벽,중풍,근육통,근육경련,근비 295
116 [사암침] [월오] 骨 척추측만증,강직성척추염,골절,골비,골다공증,관절염,백호역절풍 349
115 [사암침] [월오] 手 수족냉,수장열,착비,통풍,육위,기비,골비,백호역절풍,사지무력,견배통,수전증,수족다한 517
114 [사암침] [월오] 足 각종한냉,사지냉,수족냉,피비,맥비,통풍,육위,기비,하지무력,사지무력,좌골신경통,염좌,관절염 951
113 [사암침] [월오] 前陰(小便) 근산,혈산기산,산증,한산,수산,고환,고환수종,방광염,질염,저닙선비대,혈뇨,기림,노림,혈림,석림 438
112 [사암침] [월오] 後陰(大便) 탈항,치질,항문,화설,오경설,기설,설사,혈변 449
111 [사암침] [월오] 風 중풍,중풍불어,반신불수,구안와사,근육경련,풍현 572
110 [사암침] [월오] 寒 감기,기침,냉방병,독감 462
109 [사암침] [월오] 暑 서병,더위 146
108 [사암침] [월오] 濕 서병,더위 145
107 [사암침] [월오] 火 대상포진,화상,자상,통풍,관절염,산후 248
106 [사암침] [월오] 飮食 급체,위염,위궤양,십이지장,체증 413
105 [사암침] [월오] 虛勞 허로,만성피로 255
104 [사암침] [월오] 浮腫 부종,수산,산후부종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