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황(大黃)

HaanDoctor 2008.02.25 조회 수 1290 추천 수 0
대황(大黃)


성질은 몹시 차고[大寒] 맛은 쓰며[苦] 독이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어혈과 월경이 막힌것을 나가게 하며 징가와 적취를 삭이고대소변을 잘 통하게 한다. 온장(溫 )과 열병을치료하고 옹저(癰疽)와 창절(瘡癤)과 종독[毒腫]을낫게 한다. 장군풀(將軍)이라고 한다.
[註] 온장(溫 ) : 온병을 말한다.

○ 곳곳에서 자라는데 음력 2월과 8월에 뿌리를캐 검은 껍질을 버리고 불에 말리는데 비단무늬같은 것이 좋다[본초].

○ 실열(實熱)을 빨리 내리고 묵은 것을밀어내며 새로운 것을 생기게 하는 것이 마치난리를 평정하고 평안한 세상이 오게 하는 것같다고 해서 장군풀이라 했다[탕액].

○ 수족양명경에 들어간다. 술에 담그면태양경에도 들어가고 술에 씻으면 양명경에들어간다. 다른 경에 들어가게 하려면 술을 쓰지말아야 한다. 술에 한참 동안 담가 두면 그의맛이 좀 약해지나 술의 힘을 빌어 가장 높은부위까지 올라가며 술에 씻으면 또한 세게설사하지 않게 하기 때문에 승기탕에도 다 술에담갔다가 쓴다. 다만 소승기탕에는 생것을쓰거나 밀가루떡에 싸서 잿불에 묻어 구워쓰거나 술에 담갔다가 쪄서 쓰는데 허하고 실한것을 보아서 쓴다[입문].

○ 술에 축여 볶아 쓰면 위로[上] 머리 끝까지올라가고 술에 씻으면 위(胃)로 가며 생것을 쓰면아래로 내려간다[회춘].

대황(大黃) 단방 [癰疽]       
옹저와 열독을 치료한다. 대황(술에 씻어 썬 것) 8g과 감초 4g을 달여서 먹는다. 맥(脈)이 실(實)하고 기름진 음식을 먹은 환자에게 쓰는 것이 좋다[강목].

[下]        
음식이 잘 내리게 하고 장위(腸胃)를 깨끗하게 씻어낸다.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火]   
실열(實熱)과 혈열(血熱), 장부에 쌓인 열을 치료한다.  ○ 또는 풍열(風熱)로 헌데가 난 것을 치료한다. 대황 80g과 형개 160g을 물에 달여 먹는데 이것을 형황탕(荊黃湯)이라고 한다[득효].

[婦人]        
몸푼 뒤에 궂은 피가 속으로 치밀거나 태반이 나오지 않거나 뱃속에 덩어리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대황 40g을 가루내어 식초 5홉과 함께 달여 고약처럼 되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알씩 따뜻한 식초에 풀어 먹으면 한참 있다가 피가 나오고 곧 낫는다[본초].

[大腸腑]
대소장을 잘 통하게 한다. 달여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胞]         
달거리가 막혀 배가 붓는 것과 여러 가지 원인으로 피가 오랫동안 몰려 있어서 징가( )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大便]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데 열리(熱痢)로 피곱[膿血]이 나오는 것도 치료한다. 대변을 나오게 하려면 물에 달여 먹고 열리(熱痢)에는 술에 달여 먹는다[강목].

[積聚]        
징가와 적취를 없애며 묵은 것을 몰아내고[陳推] 새것을 생기게 하는 데는 제일 효과가 있다. 대황을 가루내어 식초에 넣고 고약이 되게 달인 다음 꿀(봉밀)을 넣고 다시 달여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  ○ 풍열(風熱)을 헤치고[ ] 적체(積滯)를 없애는 데는 대황과 나팔꽃검은씨(견우자, 절반은 생것으로 절반은 닦은 것으로 맏물가루 낸 것)를 같은 양으로 하여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5알씩 빈속에 찻물로 먹는다[본초].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0:56)

관련된 글
  1. 본초정리 대황 (大黃, Rhei Rhizoma) by
  2. 약재 정보 대황 (大黃, Rhei Rhizoma) by 한닥터
  3. 동의보감 대황(大黃) by 한닥터
  4. 약재 정보 대황(大黃) by 한닥터
  5. 약재 정보 Rhizoma Rhei 대황 by 한닥터
  6. 방약합편 HH237 大黃(대황) Capsule by 한닥터
  7. 방약합편 HH207 大黃細末(대황세말) by 한닥터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20 [생약학] 저백피 (樗白皮, Jeo Baek Pi) 저근백피(樗根白皮), 저피(樗皮) Ailanthi Radicis Cortex KHP 24
19 [생약학] 주목 (朱木, Ju Mok) yews Taxi Cortex 2
18 [생약학] 카스카라사그라다피 Rhamni Purshianae Cortex cascara sagrada 22
17 [생약학] 콘듀란고 Condurango Cortex KP JP condurango, condurango bark 22
16 [생약학] 키나 (規那皮) cinchona bark Cinchonae Cortex KHP 1
15 [생약학] 해동피 (海桐皮, Hae Dong Pi) Kalopanacis Cortex KHP 29
14 [생약학] 황백(黃柏, Hwang Baek) phellodendron bark Phellodendri Cortex KP CP JP 25
13 [생약학] 후박,당후박(唐厚朴, Hu Bak) magnolia bark Magnoliae Cortex KP CP JP 24
12 [생약학] 후박, 한후박(韓厚朴, Han Hu Bak) Machili Cortex 21
11 [생약학] 건 강 (乾薑, Zingiberis Rhizoma) 23
10 [생약학] 대산 (大蒜, Allii Bulbus) 1
9 [생약학] 대황 (大黃, Rhei Rhizoma) 3
8 [생약학] 맥문동 (麥門冬, Liriopis Tuber) 31
7 [생약학] 모근 (茅根, Imperatae Rhizoma ) 25
6 [생약학] 반하 (半夏, Pinelliae Tuber) 30
5 [생약학] 방기(防己, Sinomeni Caulis et Rhizoma) 26
4 [생약학] 백출(白朮, Atrachylodis Rhizoma Alba) 30
3 [생약학] 창출(蒼朮, Atrachylodis Rhizoma) 35
2 [생약학] 백합(白合, Lirii Bulbus) 34
1 [생약학] 부자(附子,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