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이인(薏苡仁, 율무쌀)

HaanDoctor 2008.02.25 조회 수 1313 추천 수 0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평(平)하다고도 한다)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폐위(肺 ), 폐기(肺氣)로 피고름[膿血]을 토하고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풍습비(風濕痺)로 힘줄이 켕기는 것[筋脈攣急]과 건각기, 습각기[乾濕脚氣]를 치료한다[본초].

○ 몸을 가벼워지게 하고 장기( 氣)를 막는다[사기].

○ 오랫동안 먹으면 음식을 잘 먹게 된다. 성질이 완만하여[緩] 세게 내보내지는 못하므로 다른 약보다 양을 곱으로 하여 써야 한다. 깨물어보아 이에 붙는 것이 좋은 것이다[입문].

○ 이 약의 기운은 완만하기 때문에 다른 약의 양보다 곱을 써야 효과를 볼 수 있다[단심].

○ 겉곡을 털어 물이 푹 배게 쪄서 햇볕에 말려갈아서 쓴다. 혹은 찧어서 쌀을 내기도 한다[본초].

의이(薏苡, 율무쌀) 단방 [濕]        
습(濕)을 없애고 몸을 가볍게 하며 장기( 氣)를 이겨 낸다. 율무쌀을 가루내어 죽을 쑤어 늘 먹는다. 옛날 마원(馬援)이 남방을 정복할 때에 그것을 심은 것은 곧 이 때문이다[본초].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단방 [筋]         
열(熱)과 풍으로 근맥(筋脈)이 가드라들고 땅기는 것과 힘줄에 갑자기 경련이 일어 가드라드는 데는 율무쌀죽을 쑤어 늘 먹는다[본초].

[足]         
건각기(乾脚氣)와 습각기(濕脚氣)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이스라치씨(욱리인)와 함께 죽을 쑤어 늘 먹는 것이 좋다[본초].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0:57)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물사마귀 치험례 by 무이자할부
  2. 약재 정보 의이인(薏苡仁)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by 한닥터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200 [탕액편] 해돈(海?, 곱등어) 708
199 [탕액편] 궐어(?魚, 쏘가리) 714
198 [탕액편] 야타지(野駝脂, 낙타기름) 722
197 [탕액편] 미후도(??桃, 다래) 723
196 [탕액편] 올눌제(??臍, 해구신) 724
195 [탕액편] 인뇨(人尿, 오줌) 728
194 [탕액편] 계자(鷄子, 달걀) 728
193 [탕액편] 백초상(百草霜) 742
192 [탕액편] 생숙탕(生熟湯, 끓는 물에 찬 물을 탄 것을 말한다.) 743
191 [탕액편] 천령개(天靈盖, 해골뼈) 756
190 [탕액편] 녹용(鹿茸) 758
189 [탕액편] 서미(黍米, 기장쌀) 760
188 [탕액편] 비목어(比目魚, 가자미) 771
187 [탕액편] 우유(牛乳) 778
186 [탕액편] 교맥(蕎麥, 메밀) 780
185 [탕액편]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785
184 [탕액편] 단육(?肉, 오소리고기) 795
183 [탕액편] 선어(?魚, 두렁허리) 803
182 [탕액편] 고어망(故魚網, 오래된 물고기그물) 805
181 [탕액편] 검인(芡仁, 가시연밥) 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