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령(猪苓 )

HaanDoctor 2008.02.25 조회 수 1708 추천 수 0
저령(猪 )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부종, 창만과 배가 그득한 것을 낫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임병과 오랜 학질을 낫게 한다. ○ 일명 주령(朱)이라고도 하는데 신나무에 생기는 것이다. 그 껍질은 검고 덩어리진 것이 마치 돼지똥 같다 하여 저령이라 한 것이다. 살이 희고 실한 것이 좋다. 음력 2월과 8월에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족태양, 족소음경에 들어가서 습을 없앤다. 습을 스며나가게 하는 다른 약과 대비하면 약성이 너무 말라 진액을 몹시 줄어들게 하기 때문에 습병이 없는 데는 쓰지 말아야 한다. 오래 먹으면 신(腎)을 상한다[탕액]. ○ 구리칼로 검은 껍질을 긁어 버리고 약한 불기운에 약간 말려 쓴다[입문]. 저령(猪) 단방 [小便]         오줌을 잘 나오게 하는데 썰어서 달여 먹는다[본초].  ○ 오령산(五 散)에는 저령이 있기 때문에 오줌을 잘 나오게 한다. 여러 가지 달임약에서 이것처럼 효과가 좋은 약은 없다[탕액].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0:57)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저령(猪苓 ) by 한닥터
  2. 약재 정보 저령(猪苓) by 한닥터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80 [생약학] 콘듀란고 Condurango Cortex KP JP condurango, condurango bark 22
79 [생약학] 키나 (規那皮) cinchona bark Cinchonae Cortex KHP 1
78 [생약학] 해동피 (海桐皮, Hae Dong Pi) Kalopanacis Cortex KHP 29
77 [생약학] 황백(黃柏, Hwang Baek) phellodendron bark Phellodendri Cortex KP CP JP 25
76 [생약학] 후박,당후박(唐厚朴, Hu Bak) magnolia bark Magnoliae Cortex KP CP JP 24
75 [생약학] 후박, 한후박(韓厚朴, Han Hu Bak) Machili Cortex 21
74 [생약학] 건 강 (乾薑, Zingiberis Rhizoma) 23
73 [생약학] 대산 (大蒜, Allii Bulbus) 1
72 [생약학] 대황 (大黃, Rhei Rhizoma) 3
71 [생약학] 맥문동 (麥門冬, Liriopis Tuber) 31
70 [생약학] 모근 (茅根, Imperatae Rhizoma ) 25
69 [생약학] 반하 (半夏, Pinelliae Tuber) 30
68 [생약학] 방기(防己, Sinomeni Caulis et Rhizoma) 26
67 [생약학] 백출(白朮, Atrachylodis Rhizoma Alba) 30
66 [생약학] 창출(蒼朮, Atrachylodis Rhizoma) 35
65 [생약학] 백합(白合, Lirii Bulbus) 34
64 [생약학] 부자(附子,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50
63 [생약학] 숙지황 Rehmanniae Radix Preparata KP CP JP (熟地黃, Suk Ji Hwang) steamed rehmannia root 26
62 [생약학] 천초근 Rubiae Radix KHP CP (茜草根, Cheon Cho Geun) 2
61 [생약학] 칼룸바 Calumbae Radix calumba, calumba root, columba root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