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天麻)

HaanDoctor 2008.02.25 조회 수 1251 추천 수 0
천마(天麻)

성질은 평(平)하고(차다[寒]고도 한다) 맛은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여러가지 풍습비(風濕痺)와 팔다리가 가드라드는 것[攣], 어린이 풍간(風癎)과 경풍(驚風)을 낫게 하며 어지럼증과 풍간으로 말이 잘 되지 않는 것과 잘 놀라고 온전한 정신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며 허리와 무릎을 잘쓰게 한다.

○ 즉 적전의 뿌리(赤箭根)이다. 생김새는 오이와 같은 것이 연달아 10-20개가 붙어 있다. 음력 2월, 3월, 5월, 8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다. 싹의 이름을 정풍초(定風草)라고 한다.뿌리를 캐어서 물기 있을 때에 겉껍질을 긁어버리고 끓는 물에 약간 삶아 내어 햇볕에 말린다.속이 단단한 것이 좋다[본초].

○ 여러 가지 허(虛)약으로 생긴 어지럼증에는이 약이 아니면 없앨 수 없다[단심].

천마(天麻) 단방 [手]         
팔다리가 경련이 일어 가드라드는 데 쓴다. 물에 달여 먹거나 쪄서 먹거나 생것으로 먹어도 다 좋다[본초].

[風]        
여러 가지 풍증으로 저린 것과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천마싹을 정풍초(定風草)라고도 하고 적전(赤箭)이라고도 한다.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에서 나온 이름이다.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0:57)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천마(天麻) by 한닥터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540 [아]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1364
539 [아] 오매(烏梅) 1298
538 [아] 오미자(五味子) 1413
537 [아] 오수유(吳茱萸) 1313
536 [아] 오약(烏藥) 1248
535 [아] 용골(龍骨) 1369
534 [아] 우슬(牛膝, 쇠무릎) 1494
533 [아] 원지(遠志) 1298
532 [아]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1313
531 [아] 인삼(人蔘) 1303
530 [아] 인진호(茵陳蒿, 생당쑥) 1754
529 [자] 작약(芍藥, 함박꽃뿌리) 1414
528 [자] 저령(猪苓 ) 1708
527 [자] 전호(前胡) 1317
526 [자] 주사(朱砂) 1506
525 [자] 죽력(竹瀝, 참대기름) 1301
524 [자] 죽여(竹茹, 참대속껍질) 1661
523 [자] 지골피(地骨皮) 1465
522 [자] 지각(枳殼) 1489
521 [자] 지모(知母) 1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