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두(黑豆, 검은콩)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1654 추천 수 0
흑두(黑豆, 검은콩)
[小腸腑] 물에 삶아서 그 물을 마시면 장(腸) 속에 머물러 있던 물기가 없어진다. 장이 아픈 것을 치료할 때에는 닦아서[熬] 술에 담갔다가 달여서 먹어야 한다[본초].

[五臟六腑] 5장에 뭉친 적(積)을 헤친다[散].  ○ 물에 불려 싹을 낸 것을 개완두싹[大豆黃卷]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주로 5장의 기운과 위기(胃氣)가 뭉쳐 적이 생긴 데 삶아 먹으면 좋다[본초].

[火]          일체 열독으로 번갈(煩渴)이 나는 것과 대변이 굳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검정콩 2홉, 감초 8g, 생강 7쪽을 물에 넣고 달여 먹는데 이것을 감두탕(甘豆湯)이라고 한다[입문].

[足]          각기충심(脚氣衝心)을 치료한다. 검정콩을 진하게 달여서 그 물을 마신다. 감초와 함께 달여 먹으면 더 좋다[본초].

[腎臟]         소금과 함께 넣어 삶은 것은 신을 잘 보한다. 늘 먹어야 좋다[식료].

[浮腫]          부종을 치료한다. 검정콩 1되를 물 5되에 넣고 3되가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린다. 다음 술 5되를 또 넣고 다시 3되가 되게 달인다.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세번에 나누어 먹는데 낫지 않으면 또 달여 먹어야 한다[본초].

[頸項]          머리와 목덜미가 뻣뻣해서 잘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검정콩을 쪄서 주머니에 넣어 베면 좋다[본초].

[脹滿]         뽕나무잿물에 넣고 달여서 먹으면 수고(水鼓)와 배가 불러 오른 데 효과가 있다[본초].

[風]         중풍(中風)으로 이를 악물고 말을 하지 못하며 눈과 입이 비뚤어지고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을 닦아서 뜨거운 채로 술병에 넣고 꼭 덮어 두었다가 그 술을 하루 세번 마신다. 이것을 일명 두림주(豆淋酒)라고도 한다[본초].

[婦人]         몸풀기할 달이 차기 전에 태아가 뱃속에서 죽어 산모가 까무러쳤을 때와 태반이 나오지 않을 때에는 검정콩 3되를 식초에 삶아 진한 즙을 단번에 먹으면 곧 나온다[본초].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0:59)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560 [가] 견담(犬膽, 개담) 1746
559 [하] 하엽(荷葉, 연잎) 1726
558 [다] 단육(?肉, 오소리고기) 1722
557 [자] 질려자(蒺藜子, 남가새열매) 1701
556 [아] 야국(野菊, 들국화) 1697
555 [하] 해분(海粉) 1684
[하] 흑두(黑豆, 검은콩) 1654
553 [가] 가압(家鴨, 집오리) 1625
552 [차] 천초(川椒, 조피열매) 1624
551 [가] 건시(乾枾, 곶감) 1622
550 [파] 포도(蒲萄) 포도근(蒲萄根, 포도나무뿌리) 1617
549 [가] 감자피(柑子皮) 1608
548 [사] 산조인(酸棗仁, 메대추씨) 1607
547 [마] 망초, 박초(芒硝, 朴硝) 1602
546 [가] 강랑( , 말똥구리) 1599
545 [자] 저근(苧根, 모시뿌리) 1595
544 [가] 감수(甘遂) 1586
543 [타] 토육(兎肉, 토끼고기) 토간(兎肝, 토끼간) 토두골(兎頭骨, 토끼대가리뼈) 1571
542 [바] 복룡간(伏龍肝) 1571
541 [하] 호골(虎骨, 범뼈) 호골주(虎骨酒) 호두골(虎頭骨, 범대가리뼈) 호육(虎肉, 범고기) 1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