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호색(玄胡索)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1130 추천 수 0
현호색(玄胡索)
[積聚]         징과 벽을 없앤다. 현호색을 삼릉, 자라등딱지(별갑), 대황과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술로 먹으면 효과가 있다[본초].

[胸]          가슴앓이를 멎게 한다. 현호색을 가루를 내어 술에 타 먹는다. 뇌공(雷公)은 가슴앓이로 죽을 것 같은 데는 빨리 현호색을 찾으라고 한 것은 이것을 말한 것이다[본초].  ○ 또한 어혈(瘀血)로 찌르는 듯이 가슴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 현호색을 기와 위에 놓고 닦아서 가루를 내어 8g을 데운 술에 타 먹으면 곧 낫는다[득효].

[前陰]          소장산통(小腸疝痛)을 치료한다. 현호색(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12g, 전갈 4g 등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한번에 4g씩 술로 먹는다. 혹 건강과 같은 양으로 섞어서 가루내어 먹어도 좋다[입문].

[胞]          달거리가 고르지 못한[不調] 것과 피가 나오면서 이슬이 조금씩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婦人]         몸푼 뒤에 혈훈과 궂은 피[惡血]가 심(心)으로 치밀거나 후배앓이[兒枕痛]로 숨이 끊어지는 것 같을 때에는 현호색을 가루내어 4g씩 술에 타 먹으면 곧 낫는다.  ○ 또는 현호색, 계심 각각 20g, 당귀 40g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물이나 따끈한 술에 타 먹인다[득효].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0:59)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현호색(玄胡索) by 한닥터
  2. 본초정리 현호색(玄胡索)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60 [가] 괴화(槐花, 홰나무꽃) 882
59 [가] 교맥(蕎麥, 메밀) 교맥면(蕎麥麵, 메밀가루) 1330
58 [가] 구갑(龜甲, 남생이배딱지) 1064
57 [가] 구기(枸杞, 구기자나무) 구기자(枸杞子) 1221
56 [가] 구맥(瞿麥, 패랭이꽃) 992
55 [가] 구육(狗肉, 개고기) 구간(狗肝, 개의 간) 구담(狗膽, 개열) 구음경(狗陰莖, 개의 음경) 1554
54 [가] 구육(龜肉, 남생이고기) 1164
53 [가] 구인(?蚓, 지렁이) 구인즙(?蚓汁, 지렁이즙) 999
52 [가] 구채(?菜, 부추) 구자(?子, 부추씨) 구즙(?汁, 부추즙) 1276
51 [가] 궁궁(芎?, 궁궁이) 973
50 [가] 궐(蕨, 고사리) 1005
49 [가] 규채(葵, 아욱) 자규즙(煮葵汁, 아욱 달인 즙) 1281
48 [가] 귤피(橘皮, 귤껍질) 1073
47 [가] 귤핵(橘核, 귤씨) 1486
46 [가] 근화(槿花, 무궁화꽃) 목근(木槿, 무궁화) 973
45 [가] 금박, 은박(金箔, 銀箔) 930
44 [가] 금선와(金線蛙, 노란 줄이 있는 개구리) 966
43 [가] 금앵자(金櫻子) 1175
42 [가] 길경(桔梗, 도라지) 1171
41 [나] 나마초(蘿摩草) 10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