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어( 魚, 붕어)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810 추천 수 0
즉어( 魚, 붕어)
[小兒]          어린이의 뇌감(腦疳)으로 코가 가렵고 머리칼이 드물로 곧추 서며[作穗] 얼굴이 누르고 여위는 데는 붕어열[膽]을 코 안에 떨궈 넣기를 3-5일 하면 낫는다.  ○ 머리가 헐거나 입이 헌 데는 붕어대가리를 태워 가루를 낸 다음 뿌려 준다[본초].

[脾臟]         비를 보한다. 이 물고기는 진흙을 먹기 때문에 비를 보하고 위를 돕는 효과가 있다. 국을 끓여서 먹거나 쪄서 먹거나 회를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五臟六腑] 5장을 보한다. 끓이거나 달이거나 쪄서 늘 먹으면 좋다[본초].

[嘔吐]         반위를 치료한다. 붕어 큰 것으로 내장을 빼버리고 열은 그대로 둔 다음 녹반을 채워 넣어서 불에 눋도록 구워 가루낸다. 한번에 4g씩 미음으로 하루 3번 먹는다[강목].  ○ 모든 물고기 태운 가루는 다 물고기가시가 목에 걸린 데 쓴다[본초].

[後陰]         5가지 치질과 혈치를 치료한다. 회를 만들어 생강, 식초, 겨자(芥), 장(醬)을 쳐서 먹는다. 또는 국을 끓여서 배부르게 먹는 것도 좋다[본초].  ○ 치루에는 붕어 1마리를 다음과 같이 하여 쓴다. 내장을 버리고 그 속에 백반을 가득 채워 넣은 다음 꿰매서 기와 위에 놓고 태워 가루낸다. 이것을 닭의 깃에 묻혀서 아픈 곳에 붙이면 잘 낫는다[강목].

[胃腑]          위기를 고르롭게 하고 위를 보한다. 쪄서 먹거나 국을 끓여 먹거나 회를 쳐서 먹어도 다 좋다[본초].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0)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80 [사] 생구(生龜, 산 거북이) 809
479 [사] 석곡(石斛) 809
[자] 즉어( 魚, 붕어) 810
477 [아] 우신(牛腎, 소의 콩팥) 우외신(牛外腎, 소의 음경) 우유(牛乳, 소젖) 810
476 [사] 석해(石蟹, 가재) 811
475 [자] 저사제(猪四蹄, 돼지의 네 개 발쪽) 저신(猪腎, 돼지콩팥) 812
474 [아] 원지(遠志) 813
473 [아] 용뇌(龍腦) 814
472 [차] 충위(茺蔚) 충위경옆( 蔚莖葉, 익모초의 줄기와 잎 ) 815
471 [아] 여러 동물의 힘줄[諸筋] 815
470 [자] 직미(稷米, 피쌀) 816
469 [차] 초(醋, 식초) 818
468 [아] 우방자(牛蒡子, 우엉씨) 818
467 [자] 지유(地楡, 오이풀뿌리) 819
466 [차] 천근(천根, 꼭두서니) 819
465 [아] 인동등(忍冬, 인동덩굴) 인동초(忍冬草, 겨우살이덩굴) 819
464 [다] 두충(杜冲) 819
463 [하] 흑상심(黑桑?, 익은 오디) 822
462 [자] 저마근(苧麻根, 모시뿌리) 825
461 [하] 호황토(好黃土, 좋은 황토) 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