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마(脂麻, 참깨) 지마유(脂麻油, 참기름)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1182 추천 수 0
지마(脂麻, 참깨)
[小兒]          참깨(생것)를 씹어서 어린이의 머리에 난 헌데에 붙이면 좋고 연절(軟癤)도 치료한다.  ○ 또한 외사로 나는 열[各熱]에는 참깨를 짓찧어낸 즙을 먹인다[본초].  [註] 연절(軟癤): 크기가 수수알이나 콩알만하고 빛이 붉고 피고름이 들어 있는 작은 부스럼을 말한다.

[咽喉]          곡적(穀積)을 치료한다. 닦아서 가루를 내어 끓인 물로 조금씩 먹는다[직지].

지마유(脂麻油, 참기름)
[大腸腑] 이것이 바로 향유(香油)인데 대소장을 잘 통하게 한다. 이것 1가지만 먹거나 들깨즙(水荏粥)에 타서 먹기도 한다[본초].

[三焦腑] 삼초에 있는 열독 기운[熱毒氣]을 없앤다. 이것 1가지만 먹는다[본초].

[下]          장위(腸胃)를 윤활하게 하고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하여 열이 몰린 것을 내린다. 빈속에 1-2홉씩 먹으면 대변이 이내 나온다[본초].

[蟲]         모든 충을 죽인다. 참기름 1홉, 달걀 2개, 망초 40g을 고루 섞어서 먹으면 충이 곧 나온다[종행].

[癰疽]         옹저, 발배, 독창의 초기에 먹으면 독기가 속으로 침범하지 못한다. 참기름을 10여 번 끓어 오르게 달여 식혀서 600g을 술 2사발에 탄다. 이것을 다섯번에 나누어 데워 먹는데 하루에 다 먹으면 효과가 좋다[직지].  ○ 또한 음증 때 속에 있는 독을 푼다[직지].

[胸]          가슴앓이가 냉증이거나 열증이거나 할 것 없이 다 치료한다. 참기름 1홉을 날것으로 먹는다.  ○ 또한 회충으로 인한 가슴앓이에 먹으면 좋다.  ○ 어떤 사람이 요통이 명치에까지 뻗치면서 발작하여 숨이 끊어질 듯하였다. 서문백(徐文伯)이 진찰하고 나서 이것을 발가(髮 )라고 하였다. 기름을 먹이니 눈이 없는 뱀 같은 것을 토했다. 이것을 달아매 두었더니 물이 다 빠지고 오직 한 올의 털만 남아 있었다[본초].

[火]          열독(熱毒)을 내리는 데 매우 좋다. 참기름 1홉, 달걀 2개, 망초 12g을 섞어서 먹으면 조금 있다가 곧 설사한다[본초].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0)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160 [자] 정향(丁香) 785
159 [자] 정화수(井華水, 깨끗한 물) 755
158 [자] 제조(蠐螬, 굼벵이) 1510
157 [자] 제채(薺菜, 냉이) 제자(薺子, 냉이씨) 제채자(薺菜子, 냉이씨) 952
156 [자] 조각(皂角, 주염열매) 조협(皂莢, 주염열매) 조각자(皂角刺, 주염나무가시) 1384
155 [자] 종려피(棕櫚皮) 788
154 [자] 주(酒, 술) 688
153 [자] 주사(朱砂) 주사와 석웅황[朱砂昔雄黃] 950
152 [자] 주조(酒糟, 술지게미) 778
151 [자] 죽력(竹瀝, 참대기름) 739
150 [자] 죽여(竹茹, 참대속껍질) 죽엽(竹葉, 참대잎) 1199
149 [자] 즉어( 魚, 붕어) 810
148 [자] 지각(枳殼) 782
147 [자] 지골피(地骨皮, 구기나무뿌리껍질) 800
146 [자] 지룡분(地龍糞) 지룡즙(地龍汁, 지렁이즙) 1015
[자] 지마(脂麻, 참깨) 지마유(脂麻油, 참기름) 1182
144 [자] 지모(知母) 751
143 [자] 지부자(地膚子, 댑싸리씨) 지부초(地膚草, 댑싸리) 1477
142 [자] 지실(枳實) 781
141 [자] 지유(地楡, 오이풀뿌리) 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