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과(甛瓜, 참외) 첨과자(甛瓜子, 참외씨) 첨과체(甛瓜 , 참외꼭지)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1114 추천 수 0
첨과(甛瓜, 참외)
[火]          번열(煩熱)을 없앤다. 참외껍질을 벗겨서 끼니 뒤에 먹는다[본초].

[三焦腑] 삼초에 기운이 막힌 것을 통하게 한다. 익은 것을 먹어야 한다[본초].

[口舌]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참외씨를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매일 아침 양치를 한 다음 1알씩 물고 녹여 먹는다.  ○ 입 안이 허는 데는 참외 속의 물을 먹는다[본초].

[暑]          무더운 여름에 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으므로 조금씩 먹는 것이 좋다[본초].

첨과자(甛瓜子, 참외씨)
[癰疽]         뱃속에 몰려 뭉친 것을 치료하는데 고름과 피가 뭉친 것을 터져 나오게 한다. 또한 장위(腸胃)에 생긴 내옹치료에 가장 중요한 약이다. 가루내어 8-12g씩 술에 타서 먹는다[본초].

첨과체(甛瓜 , 참외꼭지)
[黃疸]          황달 초기와 돌림열병으로 급황(急黃)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꼭지를 가루내어 양콧구멍에 불어 넣으면 누런 물이 나온다. 또는 4g을 따뜻한 물에 타 먹어도 누런 물을 토하고 낫는다[본초].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0)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00 [아] 응육(鷹肉, 매의 고기) 898
399 [아] 의이(薏苡, 율무쌀) 의이근(薏苡根, 율무뿌리)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891
398 [아] 이(梨, 배) 이즙(梨汁, 배즙) 1068
397 [아] 이(李, 추리) 663
396 [아] 이당(飴糖, 엿) 684
395 [아] 이어(鯉魚, 잉어) 이어담(鯉魚膽, 잉어쓸개) 이어린(鯉魚鱗, 잉어비늘) 이어육(鯉魚肉, 잉어고기) 1210
394 [아] 이육(狸肉, 삵의 고기) 778
393 [아] 익모초(益母草) 1 684
392 [아] 익지(益智, 익지인) 익지인(益智仁) 940
391 [아] 인구중타(人口中唾, 입안의 침) 697
390 [아] 인동등(忍冬, 인동덩굴) 인동초(忍冬草, 겨우살이덩굴) 819
389 [아] 인삼(人蔘) 915
388 [아] 인유(人乳, 사람의 젖) 680
387 [아] 인진(茵蔯, 더위지기) 676
386 [아] 임금(林檎, 능금) 672
385 [자] 자고(茨菰) 980
384 [자] 자단향(紫檀香) 873
383 [자] 자석(磁石, 지남석) 1094
382 [자] 자석영(紫石英) 871
381 [자] 자소(紫蘇, 차조기) 자소경엽(紫蘇莖葉, 차조기의 줄기와 잎) 자소엽(紫蘇葉, 차조기잎) 자소자(紫蘇子, 차조기씨) 1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