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근백피(樗根白皮, 가죽나무껍질)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1035 추천 수 0
저근백피(樗根白皮, 가죽나무껍질)
[胞]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뿌리속껍질을 썰어서 크게 1줌을 물 1되에 넣고 달여 두번에 나누어 먹는다. 가루를 내어 꿀로 알약을 만들어 먹는 것도 좋다[회춘].

[後陰]         혈치(血痔)와 장풍(腸風), 장독(藏毒)을 치료한다. 썰어서 술에 담갔다가 꿀물에 축여 볶아 가루낸다. 다음 대추살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50알씩 술로 먹는다[단심].  ○ 또는 가죽나무속껍질을 인삼과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빈속에 미음으로 먹는 것도 좋다[단심].

[大便]         적백이질과 오랜 이질[久痢]로 대변이 참지 못하게 줄줄 나오는 것[腸滑不禁]을 주로 치료한다. 가죽나무뿌리껍질 1줌, 묵은 쌀(진미) 1홉, 파밑(총백) 3대, 감초 3치, 약전국( ) 2홉을 물에 달여서 빈속에 단번에 먹는다. 혈리(血痢)에 쓰면 더욱 효과가 좋다. 가루내어 알약을 만든 것을 고장환(固腸丸)이라고 한다[본초].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1)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40 [마] 묘간(猫肝, 고양이간) 묘두골(猫頭骨, 고양이대가리뼈) 묘아모(猫兒毛, 고양이털) 묘태의(猫胎衣, 고양이태) 1173
439 [마] 무이(蕪荑, 참느릅) 830
438 [마] 문합(蚊蛤, 붉나무벌레집) 926
437 [마] 미초(米醋, 쌀초) 1002
436 [마] 미후도( 桃, 다래) 1142
435 [마] 밀(蜜, 꿀) 1185
434 [마] 밀타승(密陀僧) 1202
433 [바] 박하(薄荷) 박하즙(薄荷汁) 1373
432 [바] 반천하수(半天河水, 나뭇구멍이나 왕대그루에 고인 빗물) 930
431 [바] 반하(半夏, 끼무릇) 반하국(半夏麴) 법제반하(法製半夏, 법제한 끼무릇) 1817
430 [바] 발합( , 집비둘기) 984
429 [바] 방기(防己) 1003
428 [바] 방풍(防風) 947
427 [바] 방합(蚌蛤, 대합조개) 방합분(蚌蛤粉, 대합조개가루) 1123
426 [바] 방해( 蟹, 방게) 996
425 [바] 백강잠(白 蠶) 946
424 [바] 백개자(白芥子, 흰겨자) 1539
423 [바] 백급(白芨) 969
422 [바] 백나복(白蘿蔔, 흰무) 1137
421 [바] 백두구(白豆蔲) 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