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사제(猪四蹄, 돼지의 네 개 발쪽) 저신(猪腎, 돼지콩팥)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812 추천 수 0
저사제(猪四蹄, 돼지의 네 개 발쪽)
[乳]          젖줄을 잘 통하게 한다[본초].  ○ 산모의 기혈이 쇠약하고 적어서 젖이 조금도 없는 데는 돼지발쪽 4개와 통초 160g을 함께 물 1말에 넣고 달여 4-5되가 되면 즙을 짜서 연거푸 먹는다. 다 먹고 나서 빗등으로 젖몸 위를 문질러 주면 곧 효과가 난다[단심].

저신(猪腎, 돼지콩팥)
[婦人]         몸푼 뒤에 욕로( 勞)로 뼈마디가 쏘고[痛] 땀이 멎지 않는 데는 돼지콩팥을 잘게 썰어서 멀건 국을 끓여 양념과 쌀을 두고 죽을 쑤어 먹는다[본초].  ○ 난산에는 참기름과 꿀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돼지 간을 삶은 물에 타 먹으면 곧 효과가 있다[입문].
[膀胱腑] 방광을 잘 통하게 하고 보(補)한다. 물에 삶아 국물까지 먹는다. 돼지오줌깨[猪胞]가 더 좋다[본초].
[腰]          신허(腎虛)로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돼지콩팥(腰子) 1개를 얇게 썰어서 후추와 소금가루를 두고 재운다. 그 다음 속에 두충가루 12g을 뿌리고 연잎이나 젖은 종이로 싸서 약한 잿불에 묻어 구워 익혀서 술로 씹어 먹는다. 이것을 외신환( 腎丸)이라고 한다[입문].  ○ 또 한가지 방법은 물 2잔, 좋은 술 1잔, 돼지콩팥 1보를 사기단지에 같이 넣고 진흙으로 아가리를 싸 바른 다음 저녁부터 밤중까지 약한 불에 삶아서 새벽 4시경 다시 불에 데워 단지를 헤치고 국물을 마시면서 콩  팥을 먹는다. 이것은 혈로 혈을 보하는 것이며 광물성 약이나 식물성 약보다 훨씬 좋다[입문].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1)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40 [차] 청주(淸酒) 658
439 [차] 청호(靑蒿, 제비쑥) 1006
438 [차] 초(醋, 식초) 818
437 [차] 초결명자(草決明子, 초결명씨) 1048
436 [차] 초두구(草豆蔲) 1342
435 [차] 초룡담(草龍膽, 용담초) 959
434 [차] 초석(硝石) 646
433 [차] 촉규화(蜀葵花) 홍촉규근경(紅蜀葵根莖, 붉은 촉규화의 뿌리와 줄기) 872
432 [차] 총(蔥, 파) 총백(蔥白, 파밑) 총주(蔥酒, 파술) 1092
431 [차] 축사(縮砂, 사인) 693
430 [자] 장수(漿水, 신좁쌀죽웃물) 1305
429 [자] 장청(醬淸, 간장) 859
428 [자] 저간(猪肝, 돼지간) 저기고(猪 膏, 돼지목덜미의 기름) 저담(猪膽, 돼지열) 저두(猪 , 돼지위) 1053
427 [자] 저근(苧根, 모시뿌리) 1595
426 [자] 저근백피(樗根白皮, 가죽나무껍질) 1035
425 [자] 저두강(杵頭糠, 절구공이에 붙어 있는 겨) 1125
424 [자] 저령(猪 ) 677
423 [자] 저마근(苧麻根, 모시뿌리) 825
422 [자] 저목엽(楮木葉, 닥나무잎) 저실자(楮實子, 닥나무열매) 1041
[자] 저사제(猪四蹄, 돼지의 네 개 발쪽) 저신(猪腎, 돼지콩팥) 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