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鯉魚, 잉어) 이어담(鯉魚膽, 잉어쓸개) 이어린(鯉魚鱗, 잉어비늘) 이어육(鯉魚肉, 잉어고기)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1210 추천 수 0
이어(鯉魚, 잉어)
[浮腫]          수종으로 다리가 붓고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한다. 잉어살 380g과 파밑 1줌을 삼씨(마자인) 1되로 낸 즙에 넣고 국을 끓인 다음 소금, 약전국, 생강, 후추(호초)를 쳐서 빈속에 먹는다[입문].  ○ 또 한 가지 처방은 다음과 같다. 큰 잉어의 고기를 붉은팥(적소두) 2되와 함께 물 1말에 넣고 2되가 되게 달인다.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두번에 나누어 먹으면 반드시 설사가 나고 낫는다[본초].

[黃疸]          황달을 치료한다. 쓰는 방법은 붕어를 쓰는 방법과 같다[속방].

이어담(鯉魚膽, 잉어쓸개)
[眼]         눈에 열이 있어서 피지고 아픈 것과 청맹(靑盲), 예장( 障)을 치료한다. 눈에 넣으면 아주 좋다. 밤눈증 때에는 잉어의 쓸개와 골을 눈에 넣는데 넣으면 눈이 아프던 것도 곧 낫는다[본초].

[耳]          귀가 먹은 것을 치료한다. 즙을 내어 귀 안에 떨구어 넣는다[본초].  ○ 잉어골(鯉腦髓)을 솜에 싸서 귓구멍을 막아도 귀먹은 것이 낫는다[직지].  ○ 갑자기 귀먹은 것을 치료하는 데는 잉어골 80g을 쓰는데 멥쌀 3홉, 소금, 간장과 함께 넣고 죽을 쑤어 먹는다[입문].

이어린(鯉魚鱗, 잉어비늘)
[婦人]         몸푼 뒤 혈가(血 )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잉어비늘을 불에 태워 갈아서 4g씩 술로 먹으면 뭉친 피[滯血]를 헤쳐 버린다[본초].

이어육(鯉魚肉, 잉어고기)
[咳嗽]         주로 기침을 치료한다. 불에 태워 가루내어 한번에 4-8g씩 찹쌀미음에 타서 먹는데 회를 쳐서 생강과 식초를 두어 먹는 것도 좋다[본초].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1)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60 [차] 천문동(天門冬) 천문동과 맥문동[天麥門冬] 1362
459 [차] 천산갑(穿山甲) 970
458 [차] 천선자(天仙子, 사리풀씨) 1156
457 [차] 천초(川椒, 조피열매) 1624
456 [차] 초서사족(貂鼠四足, 담비의 발 4개) 765
455 [차] 철장(鐵將) 844
454 [차] 철퇴병(鐵槌柄, 쇠방망이자루) 886
453 [차] 첨과(甛瓜, 참외) 첨과자(甛瓜子, 참외씨) 첨과체(甛瓜 , 참외꼭지) 1114
452 [차] 청귤(靑橘, 선귤) 청귤피(靑橘皮, 선귤껍질) 청피(靑皮, 선귤껍질) 1410
451 [차] 청대(靑黛) 856
450 [차] 청두압(靑頭鴨, 대가리가 퍼런 오리) 999
449 [차] 청량미(靑梁米, 푸른 차좁쌀) 938
448 [차] 청령( , 잠자리) 671
447 [차] 청몽석(靑礞石) 899
446 [차] 총백(蔥白, 파밑) 775
445 [차] 청상엽(靑桑葉, 푸른뽕잎) 887
444 [차] 청상자(靑箱子, 개맨드라미씨) 852
443 [차] 청양간(靑羊肝, 푸른 양의 간) 739
442 [차] 청양미(靑粱米, 생동찹쌀) 685
441 [차] 청염(靑鹽, 돌소금)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