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슬(牛膝, 쇠무릎)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690 추천 수 0
우슬(牛膝, 쇠무릎)
[脈]          12경맥을 돕는다. 쇠무릎을 물에 달여 먹거나 술을 빚어 먹으면 더욱 좋다[본초].

[積聚]         징가가 뭉친 것과 갑자기 징가가 생겨 뱃속에 돌 같은 것이 있으면서 찌르는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40g을 잘게 썰어서 술에 달인 다음 빈속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본초].

[足]          다리와 무릎이 아프며 여위고 약해져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 먹거나 알약을 먹거나 술에 담가 두고 그 술을 마셔도 다 좋다. 허리나 다리 병에는 이 약을 반드시 써야 한다[본초].

[腰]          허리와 등뼈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쇠무릎을 달여 즙을 내서 먹거나 술에 담갔다가 술을 먹어도 좋다. 또한 연한 잎을 따서 쌀과 장을 넣고 죽을 쑤어 빈속에 먹기도 한다[본초].

[前陰]          음위증(陰 證)을 치료하는데 달여 먹거나 술을 빚어 먹는다.  ○ 부인이 처음 성생활을 한 다음부터 음부가 계속 아프면 쇠무릎(우슬) 80g을 술에 달여 먹어야 한다[본초].

[瘧疾]         노학(老 )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살찌고 큰 쇠무릎 1줌을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고 달여 먹는데 3제(三劑)만 쓰면 낫는다[본초].

[骨]          골수를 보한다.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술을 빚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毛髮]          머리털을 희어지지 않게 하는데 달여서 먹거나 술을 빚어 먹어도 좋다[본초].

[小便]         늙은이가 오줌이 나오는 줄을 모르는 데[遺尿] 쓴다.  ○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음경 속이 아파서 죽을 것 같은 데는 술에 달여 빈속에 먹어야 한다[본초].  ○ 우슬고(牛膝膏)는 어혈로 생긴 임병을 치료하는 데 제일 효과가 좋은 약이다. 쇠무릎(우슬) 40g을 썰어서 물 5잔에 넣고 1잔이 되게 달인 다음 사향을 조금 넣어서 빈속에 먹는다. 쇠무릎은 임병을 치료하는 데 제일 좋은 약이다[단심].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1)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580 [아] 익모초(益母草) 1 684
579 [가] 고거(苦?, 씀바귀) 고채와 고거(苦菜와 苦? , 쓴 나물과 쓴 상추) 1 1097
578 [하] 호육(狐肉, 여우고기) 호음경(狐陰莖, 여우의 음경) 1460
577 [하] 호장근(虎杖根, 범싱아뿌리) 1077
576 [하] 호초(胡椒, 후추) 977
575 [하] 호황토(好黃土, 좋은 황토) 826
574 [하] 홍시(紅枾, 연감) 1033
573 [하] 홍화(紅花, 잇꽃) 945
572 [하] 화피(樺皮, 봇나무껍질) 905
571 [하] 활서(活鼠, 산 쥐) 864
570 [하] 활석(滑石, 곱돌) 974
569 [하] 황과루(黃瓜蔞, 누른하늘타리열매) 1130
568 [하] 황구두골(黃狗頭骨, 누렁개의 대가리뼈) 황구육(黃狗肉, 누런 개고기) 922
567 [하] 황금(黃芩, 속썩은풀) 편황금(片黃芩, 속썩은풀) 1226
566 [하] 황기(黃芪, 단너삼) 974
565 [하] 황단(黃丹) 857
564 [하] 황련(黃連) 1210
563 [하] 황백(黃栢, 황경피나무껍질) 1483
562 [하] 황송절(黃松節, 소나무마디) 1078
561 [하] 황우뇌수(黃牛腦髓, 누런 소의 골) 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