욱리근(郁李根, 이스라치나무뿌리) 욱리인(郁李仁, 이스라치씨)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860 추천 수 0
욱리근(郁李根, 이스라치나무뿌리)
[牙齒]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이빨을 든든하게 한다[본초].  ○ 이빨에 벌레가 먹어서 잇몸이 붓고 아픈 데는 이스라치뿌리속껍질(욱리근백피)을 쓰는데 썰어서 물에 진하게 달여 그 물로 양치하다가 식으면 뱉아 버린다. 그러면 벌레가 나오고 낫는다[본초].

욱리인(郁李仁, 이스라치씨)
[下]          5장(五臟)을 잘 통하게 하고 관격(關格)되어 통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膀胱腑] 방광이 켕기면서[急]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浮腫]          수종으로 배가 불러 오르고 숨이 몹시 차며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이스라치씨(욱리인) 40g을 갈아서 즙을 낸 다음 여기에 율무쌀(의이인)가루 2홉을 넣고 죽을 쑤어 먹는다[입문].  ○ 또한 이스라치씨 1홉을 가루내어 밀가루에 섞어 떡을 만든 다음 구워 먹으면 곧 대변이 나오고 낫는다[본초].

[大腸腑] 장 속에 기가 몰린 것을 치료한다. 가루를 내어 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積聚]         현벽을 치료한다. 씨를 끓인 물에 담갔다가 껍질을 버리고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쓰는데 흰밀가루와 함께 반죽한 다음 떡을 만들어 구워서 빈속에 먹는다. 그러면 반드시 설사가 시원하게 나간다. 만일 설사가 멎지 않으면 끓인 물에 식초를 섞어서 식혀 먹어야 한다[본초].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1)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380 [자] 자소(紫蘇, 차조기) 자소경엽(紫蘇莖葉, 차조기의 줄기와 잎) 자소엽(紫蘇葉, 차조기잎) 자소자(紫蘇子, 차조기씨) 1095
379 [자] 자연동(自然銅, 산골) 1282
378 [자] 자원(紫 , 개미취) 885
377 [자] 자하거(紫河車) 인포(人胞, 태반) 인포의(人胞衣, 자하거) 1400
376 [자] 작(鵲, 까치) 작소(鵲巢, 까치둥지) 1059
375 [자] 작약(芍藥, 집함박꽃뿌리) 백작약(白芍藥, 집함박꽃뿌리) 1138
374 [자] 작옹(雀瓮, 쐐기벌레집) 982
373 [자] 작육(雀肉, 참새고기) 1349
372 [자] 잠사(蠶沙, 누에똥) 1228
371 [자] 잠퇴지(蠶退紙, 누에알 깐 종이) 941
370 [자] 장미근(薔薇根, 장미뿌리) 1125
369 [아] 우비(牛脾, 소의 기레) 우비(牛鼻, 소코) 우수(牛髓, 소의 골수) 1078
368 [아] 우슬(牛膝, 쇠무릎) 690
367 [아] 우신(牛腎, 소의 콩팥) 우외신(牛外腎, 소의 음경) 우유(牛乳, 소젖) 810
366 [아] 우치(牛齒, 소 이빨) 우황(牛黃) 1077
[아] 욱리근(郁李根, 이스라치나무뿌리) 욱리인(郁李仁, 이스라치씨) 860
364 [아] 운모(雲母) 698
363 [아] 울금(鬱金) 712
362 [아] 울눌제( 臍, 물개신) 해구신 1274
361 [아] 웅계비치리황피(雄鷄 裏黃皮, 수탉의 계내금) 웅계탕(雄 湯, 수탉고기 국물) 7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