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담(熊膽, 곰쓸개)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1120 추천 수 0
웅담(熊膽, 곰쓸개)
[胸]          충심통(蟲心痛)을 치료한다. 콩알만한 웅담(熊膽)을 물에 타 먹으면 매우 효과가 좋다[본초].  [註] 웅담(熊膽)의 용량에 대해서는 임상치료에서 참작해서 써야 한다.

[眼]         눈병으로 벌겋게 진물고 예막이 생겨서 눈물이 많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웅담(좋은 것)을 물에 갈아 늘 눈에 넣으면 잘 낫는다[자생].

[小兒]          어린이의 5감(五疳)을 주로 치료한다. 벌레를 죽이고 감창(疳瘡)을 낫게 한다. 콩 2알만한 곰쓸개를 젖이나 참대기름에 풀어 먹인다[본초].

[蟲]         충을 죽이는데 회충으로 생긴 가슴앓이[心痛]도 치료한다. 콩알만큼을 더운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黃疸]          돌림황달을 치료하는데 조금씩 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面]          얼굴에 생긴 기미와 검은 반점을 없애고 얼굴이 윤택해지게 한다. 바르기도 하고 먹기도 하는 것이 좋다[본초].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1)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00 [바] 방합(蚌蛤, 대합조개) 방합분(蚌蛤粉, 대합조개가루) 1123
399 [나] 녹각교(鹿角膠) 1122
398 [하] 합환(合歡, 자귀나무) 합환피(合歡皮, 자귀나무껍질) 1121
[아] 웅담(熊膽, 곰쓸개) 1120
396 [다] 대저제(大猪蹄, 큰 돼지의 발굽) 1115
395 [차] 첨과(甛瓜, 참외) 첨과자(甛瓜子, 참외씨) 첨과체(甛瓜 , 참외꼭지) 1114
394 [마] 만형자(蔓荊子, 순비기열매) 1113
393 [마] 만려어(鰻 魚, 뱀장어) 1112
392 [나] 남엽즙(藍葉汁, 쪽잎즙) 1112
391 [아] 오계(烏鷄, 뼈 검은닭) 오골계(烏骨鷄, 뼈검은닭) 오웅계(烏雄 , 뼈검은수탉) 1110
390 [마] 맹충( 蟲, 등에) 1110
389 [다] 대두(大豆, 콩) 1109
388 [사] 산석류각(酸石榴殼, 산석류껍질) 1108
387 [나] 녹각(鹿角) 1108
386 [가] 고련근(苦練根) 1108
385 [사] 상백피(桑白皮, 뽕나무뿌리껍질) 상시회(桑柴灰, 뽕나무 태운 재) 상시회즙(桑柴灰汁, 뽕나무잿물) 1107
384 [하] 해백(薤白, 염교흰밑) 1104
383 [하] 호도(胡桃, 호두) 1102
382 [하] 하마(蝦? , 두꺼비) 1101
381 [다] 대맥(大麥, 보리) 1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