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계(烏鷄, 뼈 검은닭) 오골계(烏骨鷄, 뼈검은닭) 오웅계(烏雄 , 뼈검은수탉)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1110 추천 수 0
오계(烏鷄, 뼈 검은닭)
[風]         중풍으로 말을 하지 못하는 것과 풍(風), 한(寒), 습(濕)으로 생긴 비증(痺證)을 치료한다. 뼈 검은닭의 고기를 국을 끓이면서 파, 후추, 생강, 소금, 간장, 기름을 넣고 익혀 먹는다.  ○ 오계분(烏 糞)은 풍(風)을 주관한다. 치병으로 이를 악물고 몸이 뻣뻣해진데는 오계시백(屎白)을 검정콩(흑두, 뜨겁게 닦은 것)과 함께 술에 담갔다가 먹는다.

[諸傷]          깔리었거나 떨어졌거나 배 또는 수레에 찍히었거나 말한테 채었거나 소한테 받히어 가슴과 배가 상하고 팔다리뼈가 부러져서 숨쉬기 답답하고 죽을 것같이 되었을 때에는 1마리를 털채로 천 여 번 짓찧어 식초 1되에 넣고 알맞게 버무려 쓰는데 새천을 상처에 덮고 그 위에 이것을 붙이고 잘 싸맨다. 마르면 갈아 붙이되 추우면서 떨리거나 게울 것같이 되어도 약을 떼버려서는 안된다. 그리고 조금 있다가 다시 오계 1마리를 위의 방법과 같이 하여 붙이면 잘 낫는다[본초].

오골계(烏骨鷄, 뼈검은닭)
[大便]         어린이의 금구리를 치료한다. 1마리를 보통 먹는 것처럼 손질하여 삶아서 그 국물을 자주 먹으면 이질이 멎고 위가 좋아진다[胃開].

오웅계(烏雄 , 뼈검은수탉)
[虛勞]         허로로 몸이 여윈 것을 보한다. 수탉 1마리에 양념을 두고 푹 삶아 먹으면 몹시 보한다. 늘 먹는 것이 좋다[본초].
[諸傷]          주로 넘어져서 뼈가 부러져 몹시 아픈데 쓴다. 오계(수컷)의 피를 받아 술에 타서 먹고 즉시 그 닭의 배를 갈라서 상처에 싸매면 잘 낫는다[본초].  ○ 또는 오계의 뼈를 가루내어 40g과 자연동을 가루내서 16g을 섞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강목].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2)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00 [아] 응육(鷹肉, 매의 고기) 898
399 [아] 의이(薏苡, 율무쌀) 의이근(薏苡根, 율무뿌리)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891
398 [아] 이(梨, 배) 이즙(梨汁, 배즙) 1068
397 [아] 이(李, 추리) 663
396 [아] 이당(飴糖, 엿) 684
395 [아] 이어(鯉魚, 잉어) 이어담(鯉魚膽, 잉어쓸개) 이어린(鯉魚鱗, 잉어비늘) 이어육(鯉魚肉, 잉어고기) 1210
394 [아] 이육(狸肉, 삵의 고기) 778
393 [아] 익지(益智, 익지인) 익지인(益智仁) 940
392 [아] 인구중타(人口中唾, 입안의 침) 697
391 [아] 인동등(忍冬, 인동덩굴) 인동초(忍冬草, 겨우살이덩굴) 819
390 [아] 인삼(人蔘) 915
389 [아] 인유(人乳, 사람의 젖) 680
388 [아] 인진(茵蔯, 더위지기) 676
387 [아] 임금(林檎, 능금) 672
386 [자] 자고(茨菰) 980
385 [자] 자단향(紫檀香) 873
384 [자] 자석(磁石, 지남석) 1094
383 [자] 자석영(紫石英) 871
382 [자] 자소(紫蘇, 차조기) 자소경엽(紫蘇莖葉, 차조기의 줄기와 잎) 자소엽(紫蘇葉, 차조기잎) 자소자(紫蘇子, 차조기씨) 1095
381 [자] 자연동(自然銅, 산골) 1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