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미(粟米, 좁쌀) 속미감(粟米 , 좁쌀 씻은 물) 속미구(粟米 , 좁쌀미숫가루)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833 추천 수 0
속미(粟米, 좁쌀)
[脾臟]         비를 보한다. 죽이나 밥을 지어 늘 먹으면 좋다. 모든 기장쌀도 같다[본초].

속미감(粟米 , 좁쌀 씻은 물)
[消渴]         시어진 것은 소갈을 멎게 하는데 아주 좋다(쌀 씻은 물을 오랫동안 둬두면 시어진다). 늘 먹어야 한다[본초].

[癨亂]          곽란으로 번갈(煩渴)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반 되를 먹으면 곧 낫는다.  ○ 또한 쌀을 갈아서 물에 걸러 그 즙을 먹기도 하는데 이것은 힘줄이 뒤틀리는 것이 속에까지 들어갔을 때에 쓴다[본초].

속미구(粟米 , 좁쌀미숫가루)
[大腸腑] 대장을 든든하게[實] 하는데 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2)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320 [아] 오계(烏鷄, 뼈 검은닭) 오골계(烏骨鷄, 뼈검은닭) 오웅계(烏雄 , 뼈검은수탉) 1110
319 [아]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841
318 [아] 영양각(羚羊角) 754
317 [아] 염탕(鹽湯, 소금 끓인 물) 1305
316 [아] 염초(焰硝) 766
315 [아] 염(鹽, 소금) 934
314 [아] 연실(蓮實, 연밥) 연자(蓮子, 연밥) 연자육(蓮子肉, 연밥) 1006
313 [아] 연시(燕屎) 732
312 [아] 연석(煉石, 달군 돌) 772
311 [아] 연서( 鼠, 두더지) 951
310 [아] 연복자(燕覆子, 으름덩굴씨) 929
309 [아] 연록피(烟鹿皮, 연기를 쏘인 사슴의 가죽) 680
308 [아] 연교(連翹, 개나리열매) 741
307 [아] 역류수(逆流水) 636
306 [아] 여회(藜灰, 명아주 태운 가루) 690
305 [아] 여어(여어, 가물치) 여어담(여魚膽, 가물치쓸개) 여어장여어( 魚鰻 魚, 가물치와 뱀장어) 880
304 [아] 여생지(驢生脂, 당나귀비계 날것) 726
303 [아] 여로(藜蘆, 박새뿌리) 1082
302 [아] 여러 동물의 힘줄[諸筋] 815
301 [아] 어회(魚膾, 물고기회) 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