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강급건강(生薑及乾薑, 생강 및 건강)

HaanDoctor 2008.02.09 조회 수 905 추천 수 0
생강(生薑)
[胸]           끼무릇(반하)과 같이 달여 먹으면 명치 아래가 갑자기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 생강즙과 살구씨(행인)를 같이 달여 먹으면 기가 몰려서 가슴이 아프고 더부룩하던 것이 잘 멎는다.

[氣]         단계는 “생강은 기를 보한다”고 하였다.  ○ 탕액편에는 “이 약은 양기를 잘 돌게 하고 기를 헤치는데 달여 먹는 것이 좋다”고 씌어 있다.

[癨亂]          곽란(癨亂)으로 죽을 것 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 생강(썬 것) 200g을 물 1되에 넣고 달여 즙을 내서 먹으면 곧 낫는다[본초].

[胃腑]          위기를 통하게 하는 데 달여서 먹는다[본초].

[咳嗽]         주로 기침이 나고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 생것이나 마른 것도 다 기침을 치료한다[본초].  ○ 기침할 때 생강을 많이 쓰는 것은 이 약의 매운 맛이 발산을 잘 시키기 때문이다[정전].  ○ 기침이 나고 숨이 찬 데는 생강 2홉 반과 사탕 200g을 함께 넣고 절반이 되게 달여서 늘 먹는다[천금].  ○ 오래된 딸꾹질에는 생강즙 반홉에 꿀 1숟가락을 타서 잘 달인 다음 뜨거울 때 세번에 나누어 먹는다[본초].

[痰飮]          담을 삭이고 기를 내리며 냉담(冷痰)을 없애고 위기(胃氣)를 조화시킨다[본초]. 담벽(痰癖)을 치료하는 데는 생강 16g과 부자(생것) 8g을 쓰는데 이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五臟六腑] 장부(藏府)를 통하게 한다. 늘 먹지 않으면 안 된다.

[脇]          겨드랑이에서 노린내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즙을 내어 겨드랑이에 늘 바르면 완전히 낫는다[본초].

[嘔吐]         대체로 토하는 것은 기가 거슬러오르기 때문인데 이 때에는 맛이 매운 생강으로 헤쳐 주어야 한다.  ○ 반위로 토하는 데는 생강즙에 좁쌀을 넣고 죽을 쑤어 먹는다.  ○ 헛구역은 생강즙 2홉 반을 먹으면 곧 낫는다[본초].

생강즙(生薑汁)
[內傷]          중초(中焦)에 열이 있어서 음식을 먹지 못할 때에는 생강즙 1홉, 꿀 1숟가락, 물 3홉, 생지황즙 조금 등을 타서 단번에 먹으면 곧 낫는다[본초].

[面]          손톱으로 얼굴을 허빈 것[破]을 치료하는데 이 즙에 경분을 타서 바르면 흠집이 생기지 않는다[득효].

생강급건강(生薑及乾薑, 생강 및 건강)
[津液]         땀을 나게 하여 표(表)를 푸는데 주리( 理)를 열어서 땀을 나게 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건강(乾薑)
[胸]          갑자기 가슴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건강을 가루를 내어 8g씩 미음에 타 먹는다[본초].

[痰飮]       한담증(寒痰證)을 치료하는데 담을 삭이고 기를 내린다.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달여서 먹어도 다 좋다[본초].

[鼻]          코가 멘 것을 치료한다.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콧구멍을 막는다[본초].

[胃腑]       위기를 잘 통하게 하고 위를 따뜻하게 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腹]        비(脾)가 차서 배가 아프고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건강(닦은 것) 12g, 감초(닦은 것) 2g을 썰어서 대추 1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혹은 가루를 내어 미음에 타 먹는다[직지].

[大便]      속이 차서 생긴 설사[冷泄]와 냉리(冷痢)를 주로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어도 좋은데 혈리에는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내서 한번에 4g씩 미음에 타 먹는다.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3)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360 [아] 우비(牛脾, 소의 기레) 우비(牛鼻, 소코) 우수(牛髓, 소의 골수) 1078
359 [하] 호장근(虎杖根, 범싱아뿌리) 1077
358 [아] 우치(牛齒, 소 이빨) 우황(牛黃) 1077
357 [마] 목단피(牧丹皮, 모란껍질) 1076
356 [가] 귤피(橘皮, 귤껍질) 1073
355 [바] 부용(芙蓉, 연꽃) 1071
354 [가] 계장(鷄腸, 닭의 장) 1071
353 [나] 납(蠟, 황랍) 1070
352 [가] 괴백피(槐白皮, 홰나무뿌리껍질) 1070
351 [아] 이(梨, 배) 이즙(梨汁, 배즙) 1068
350 [가] 구갑(龜甲, 남생이배딱지) 1064
349 [마] 모정향(母丁香, 정향) 1061
348 [자] 작(鵲, 까치) 작소(鵲巢, 까치둥지) 1059
347 [가] 계지(桂枝) 1055
346 [자] 저간(猪肝, 돼지간) 저기고(猪 膏, 돼지목덜미의 기름) 저담(猪膽, 돼지열) 저두(猪 , 돼지위) 1053
345 [타] 토저(土猪) 1049
344 [바] 벽전(壁錢, 납거미) 1049
343 [차] 초결명자(草決明子, 초결명씨) 1048
342 [나] 노감석(爐甘石) 1048
341 [파] 패모(貝母) 1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