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려(牡蠣, 굴조개) 모려분(牡蠣粉, 굴조개껍질) 모려육(牡蠣肉, 굴조개살)

HaanDoctor 2008.02.09 조회 수 2083 추천 수 0
모려(牡蠣, 굴조개)
[虛勞]         허로로 몹시 허손된 것을 주로 보한다. 그 살을 발라서 끓여 먹는다[본초].

[火]          번열(煩熱)을 없앤다. 굴조개의 살을 발라 회를 만들어 생강과 식초를 두고 먹는다[본초].

[內傷]          술을 마신 뒤에 번열(煩熱)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굴조개살에 생강과 식초를 넣어 날것으로 먹는다[본초].

[精]         꿈에 헛것과 성교하면서 정액이 나오는 것과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굴조개껍질을 불에 달구어 식초에 담갔다 내기를 일곱번 반복한 후 가루내어 식초를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이것을 고진환(固眞丸)이라고 한다[동원].

[胞]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식초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이것을 다시 불에 구워 보드랍게 가루낸 다음 식초에 달여 만든 약쑥고약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식초와 약쑥(애엽)을 달인 물로 먹는다[강목].

[腎臟]         신을 보한다. 구워서 가루내어 알약에 넣어 쓴다. 굴조개살을 삶아 먹어도 좋다[본초].

모려분(牡蠣粉, 굴조개껍질)         
[大腸腑] 대소장(大小腸)을 수렴한다. 가루를 내어 미음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津液]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두충과 함께 쓰면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멈추는데 마황뿌리와 함께 가루내어 몸에 발라도 식은땀이 나는 것이 멎는다[본초].

[大便]         대소변을 멎게 하는데 오줌이 나가는 줄을 모르는 것도 치료한다. 굴조개껍질과 백반(구운 것)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하루에 세번 술에 타 먹는다. 또한 유뇨(遺尿)증도 치료한다[강목].

[小便]         오줌이 술술 자주 나오는 것을 멎게 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모려육(牡蠣肉, 굴조개살)
[消渴]         주갈(酒渴)을 치료하는데 생것으로 생강과 식초를 넣어서 먹는다. 민간에서는 굴을 석화라고 한다[본초].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4)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580 [아] 익모초(益母草) 1 684
579 [가] 고거(苦?, 씀바귀) 고채와 고거(苦菜와 苦? , 쓴 나물과 쓴 상추) 1 1097
578 [하] 호육(狐肉, 여우고기) 호음경(狐陰莖, 여우의 음경) 1460
577 [하] 호장근(虎杖根, 범싱아뿌리) 1077
576 [하] 호초(胡椒, 후추) 977
575 [하] 호황토(好黃土, 좋은 황토) 826
574 [하] 홍시(紅枾, 연감) 1033
573 [하] 홍화(紅花, 잇꽃) 945
572 [하] 화피(樺皮, 봇나무껍질) 905
571 [하] 활서(活鼠, 산 쥐) 864
570 [하] 활석(滑石, 곱돌) 974
569 [하] 황과루(黃瓜蔞, 누른하늘타리열매) 1130
568 [하] 황구두골(黃狗頭骨, 누렁개의 대가리뼈) 황구육(黃狗肉, 누런 개고기) 922
567 [하] 황금(黃芩, 속썩은풀) 편황금(片黃芩, 속썩은풀) 1226
566 [하] 황기(黃芪, 단너삼) 974
565 [하] 황단(黃丹) 857
564 [하] 황련(黃連) 1210
563 [하] 황백(黃栢, 황경피나무껍질) 1483
562 [하] 황송절(黃松節, 소나무마디) 1078
561 [하] 황우뇌수(黃牛腦髓, 누런 소의 골) 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