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손설(飱泄)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1512 추천 수 0
◎ 飱泄 ○ 飱泄者米穀不化而泄出也.<綱目> ○ 夕食謂之飱以食之難化者尤重於夕故食不化泄出者謂之飱泄<聖濟> ○ 內經曰淸氣在下則生飱泄註曰淸氣陽氣也.陽爲熱熱氣在下則穀不化故爲飱泄也. ○ 又曰久風入中則爲腸風飱泄夫脾胃冲和之氣以化爲事今淸氣下降或風邪久而干胃是木賊土也.故和之氣不能化而令物完出謂之泄或飮食太過腸胃受傷亦致米穀不化俗呼爲水穀痢也.加減木香散主之<衛生> ○ 泄之證奪食則一日可止夫奪食之理爲胃弱不能剋化食則爲泄如食不下何以作泄更當以藥如養元散八仙糕之類滋養元氣候泄漸止少與食胃勝則安矣<東垣> ○ 泄宜防風芍藥湯蒼朮防風湯 ○ 一人病泄腹中雷鳴泄注米穀不化小便澁滯以桂枝麻黃湯加(方見寒門)薑棗煎大劑連進三服汗出終日而卽愈<子和>
 
☞ 손설(飱泄)

  ○ 손설이란 소화되지 않은 것을 설사하는 것이다[강목]. ○ 저녁밥을 손(飱)이라고 하는데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 것은 저녁에 더 심하다. 그러므로 소화되지 않은 것을 설사하는 것을 손설이라고 하였다[성제]. ○ 『내경』에는 "하초에 맑은 기[淸氣]가 있으면 손설이 생긴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맑은 기는 양기(陽氣)이며 열기(熱氣)이다. 하초에 열기가 있으면 음식이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삭지 않은 설사[飱泄]를 하게 된다"고 씌어 있다. ○ 또한 "풍사(風邪)가 오랫동안 속에 들어가 있으면 장풍(腸風)이나 손설이 생긴다"고 씌어 있다. 비위(脾胃)의 기가 고르로우면[?和] 소화가 잘 된다. 그러나 맑은 기운이 아래로 처져 내려가거나 오랫동안 풍사(風邪)가 위(胃) 속에 머물러 있게 되면 간목(木)이 비토(土)에 침범하게 된다. 그러면 비위의 기운이 고르롭지[
和] 못하게 되어 음식이 소화되지 못하고 그대로 나가게 된다. 이것을 손설(泄)이라고 한다. 또한 음식을 지나치게 먹어서 창자[腸胃]가 상해도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다. 이것을 민간에서는 수곡리(水穀痢)라고 하는데 이런 데는 가감목향산을 쓴다[위생]. ○ 손설은 굶으면 하루동안은 멎는다. 굶는 이유는 위(胃)가 약해서 소화시키지 못하여 먹기만 하면 설사가 나기 때문이다. 음식이 들어가지 않으면 왜 설사가 나겠는가. 그러므로 양원산, 팔선고 등의 약으로 원기(元氣)를 보하여 설사를 점차 멎게 한 다음에 음식을 조금씩 먹어서 위기(胃氣)를 회복시키면 낫는다[동원]. ○ 손설에는 방풍작약탕, 창출방풍탕을 쓴다. ○ 어떤 사람이 손설로 배가 끓으면서[雷鳴] 걷잡을 수 없이 설사하고 음식이 소화되지 않으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았는데 계지마황탕(桂枝麻黃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생강, 대추를 넣되 약의 분량을 많게 하여 연거푸 세번 먹고 하루종일 땀을 낸 다음 곧 나았다고 한다[자화]. 
 
? 加減木香散 ○ 治泄水穀痢木香良薑升麻檳榔人參白朮各二錢半神麴炒二錢肉豆蔲煨吳茱萸湯洗乾薑炮陳皮縮砂各五分右麄末每五錢空心水煎服之 ○ 亦治腸風泄<綱目>
☞ 가감목향산(加減木香散) ○ 손설과 수곡리를 치료한다. ○ 목향, 양강, 승마, 빈랑, 인삼, 백출 각각 10g, 신국(볶은 것) 8g,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오수유(끓는 물에 씻은 것), 건강(싸서 구운 것), 陳皮, 사인 각각 2g. ○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 ○ 또한 장풍(腸風)과 손설도 치료한다[강목]. 
 
? 八仙糕治脾胃虛損泄瀉不止最益老人小兒枳實麩炒白朮土炒山藥各四兩山査肉三兩白茯苓陳皮炒蓮肉各二兩人參一兩右爲末粳米五升糯米一升半打粉蜜三斤入藥末和勻入甑蒸熟焙乾取食之以湯漱口送下<回春>
☞ 팔선고(八仙糕) ○ 비위(脾胃)가 허손(虛損)되어 설사가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늙은이와 어린이들의 설사에 더 좋다. ○ 지실(밀기울과 함께 볶은 것), 백출(흙과 함께 볶은 것), 산약 각각 160g, 산사 120g, 백복령, 진피(볶은 것), 연육 각각 80g, 인삼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멥쌀 5되, 찹쌀 1되 5홉을 가루낸 것과 함께 봉밀 1,800g에 반죽하여 시루에 찐 다음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먹는데 끓인 물로 양치하고 먹어야 한다[회춘]. 
 
? 防風芍藥湯治飱泄身熱脈弦腹痛而渴防風白芍藥各二錢黃芩一錢右剉水煎服<東垣>
☞ 방풍작약탕(防風芍藥湯) ○ 손설이 있으면서 몸에 열이 나고 맥이 현(弦)하며 배가 아프고 목이 마른 것을 치료한다. ○ 방풍, 백작약 각각 8g, 황금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 蒼朮防風湯治久風爲飱泄不飮水而穀完出蒼朮六錢麻黃二錢防風一錢右剉作一貼入薑七片水煎服<東垣>
☞ 창출방풍탕(蒼朮防風湯) ○ 오래된 풍사[久風]로 손설이 생겨 물을 마시지 못하고 소화되지 않은 음식이 그대로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 창출 24g, 마황 8g, 방풍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by 한닥터
  2. 동의보감 풍리(風痢) by 한닥터
  3. 동의보감 구설(久泄) by
  4. 동의보감 허설(虛泄) by
  5. 동의보감 풍설(風泄) by
  6. 동의보감 처방집 팔선고(八仙膏)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창출방풍탕(蒼朮防風湯)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방풍작약탕(防風芍藥湯)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팔선고(八仙膏)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가감목향산(加減木香散)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양원산(養元散) by 한닥터
  12. 회원임상례 손설에 가감목향산의 사용 by 닥터 뫔 *1
  13. 방약합편 89 창출방풍탕(蒼朮防風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대변이 만들어지는 경위[大便原委] 858
[대변(大便)] 대변병의 원인[大便病因] 841
[대변(大便)] 대변빛으로 갈라보는 방법[辨便色] 771
[대변(大便)] 맥 보는 법[脈法]/대변 718
[대변(大便)] 설사증에는 5가지가 있다[泄證有五] 1116
[대변(大便)] 여러 가지 설사증[泄瀉諸證] 1179
[대변(大便)] 습설(濕泄) 1161
[대변(大便)] 풍설(風泄) 829
[대변(大便)] 한설(寒泄) 1127
[대변(大便)] 서설(暑泄) 1232
[대변(大便)] 화설(火泄) 946
[대변(大便)] 허설(虛泄) 1140
[대변(大便)] 활설(滑泄) 1155
[대변(大便)] 손설(飱泄) 1512
[대변(大便)] 담설(痰泄) 1086
[대변(大便)] 식적설(食積泄) 1317
[대변(大便)] 주설(酒泄) 1233
[대변(大便)] 비설(脾泄) 1152
[대변(大便)] 신설(腎泄) 1022
[대변(大便)] 폭설(暴泄) 846
[대변(大便)] 구설(久泄) 1126
[대변(大便)] 설사에는 양기를 끌어올리는 약을 써야 한다[泄瀉宜用升陽之藥] 820
[대변(大便)] 설사와 이질은 같지 않다[瀉與痢不同] 730
[대변(大便)]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740
[대변(大便)] 이질의 여러 가지 병증[痢疾諸證] 626
[대변(大便)] 적리(赤痢) 1098
[대변(大便)] 백리(白痢) 908
[대변(大便)] 적백리(赤白痢) 729
[대변(大便)] 수곡리 641
[대변(大便)] 농혈리(膿血痢) 1 1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