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습리(濕痢)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709 추천 수 0
◎ 濕痢 ○ 濕痢腹脹身重下如黑豆汁或赤黑渾濁此危證也.宜當歸和血散(方見後陰)加味除濕湯戊已丸<入門> ○ 下痢如豆汁者濕也.盖脾胃爲水穀之海常兼四藏故有五色之相雜當先通利此迎而奪之之義也.<丹心>
 
☞ 습리(濕痢)

  ○ 습리라는 것은 배가 불러 오르고[腹脹] 몸이 무거우면서 설사로 검정콩 달인 물(黑豆汁) 같은 것이나 검붉은 것이 섞여 나오는 것인데 이것은 위험한 증상이다. 이런 데는 당귀화혈산(當歸和血散, 처방은 항문문에 있다), 가미제습탕, 무기환 등을 쓴다[입문]. ○ 이질 때 대변이 콩 달인 물 같은 것은 습리이다. 대체로 비위(脾胃)는 음식을 받아들이는 곳으로써 늘 심(心), 폐(肺), 간(肝), 신(腎) 4장기의 기운을 끼고 있다. 그러므로 5가지 빛이 뒤섞이게 된다. 이때에는 반드시 먼저 설사시켜야 하는데 이것은 맞받아 나가서 꺾어버린다[迎而奪之]는 것을 의미한다[단심]. 
 
? 加味除濕湯 ○ 治傷濕下痢如黑豆汁半夏厚朴蒼朮各一錢二分藿香陳皮赤茯苓各七分木香桂皮甘草各五分右剉作一貼薑三片棗二枚空心水煎服<丹心>
☞ 가미제습탕(加味除濕湯) ○ 습에 상하여 검정콩 달인 물 같은 것을 설사하는 이질을 치료한다. ○ 반하, 후박, 창출 각각 4.8g, 곽향, 진피, 적복령 각각 2.8g, 목향, 계피,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빈속에 달여 먹는다[단심]. 
 
? 戊己丸治濕痢黃連吳茱萸白芍藥各等分右爲末麪糊和丸梧子大空心米飮下五七十丸<局方>
☞ 무기환(戊己丸) ○ 습리를 치료한다. ○ 황련, 오수유, 백작약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미음으로 먹는다[국방].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093. 戊己丸(무기환) by 한닥터
  2. 태암 처방집 中風右半身不遂(중풍우반신불수) 加味除濕湯(가미제습탕) by 한닥터
  3. 태암 처방집 中濕(중습) 加味除濕湯(가미제습탕)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처방집 당귀화혈산(當歸和血散)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처방집 무기환(戊己丸)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제습탕(加味除濕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금구리(噤口痢) 759
[대변(大便)] 휴식리(休息痢) 997
[대변(大便)] 풍리(風痢) 778
[대변(大便)] 한리(寒痢) 727
[대변(大便)] 습리(濕痢) 709
[대변(大便)] 열리(熱痢) 940
[대변(大便)] 기리(氣痢) 621
[대변(大便)] 허리(虛痢) 1006
[대변(大便)] 적리(積痢) 705
[대변(大便)] 구리(久痢) 827
[대변(大便)] 역리(疫痢) 669
[대변(大便)] 고주리(蠱疰痢) 591
[대변(大便)] 5색리(五色痢) 745
[대변(大便)] 이질 때의 8가지 위험한 증후[八痢危證] 660
[대변(大便)] 이질 때 배가 아픈 것[痢疾腹痛] 1005
[대변(大便)] 이질 때 뱃속이 끌어당기는 것같이 아프면서 뒤가 무직한 것[痢疾裏急後重] 611
[대변(大便)] 이질 때 항문이 아픈 것[痢疾大孔痛] 814
[대변(大便)] 이질 때 설사를 시키는 것이 좋다[痢疾宜下] 789
[대변(大便)]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1079
[대변(大便)]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779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어려운 것을 갈라 보는 것[泄痢易治難治辨] 566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의 예후가 좋거나 나쁜 증[泄痢吉凶證] 758
[대변(大便)] 음식을 먹은 다음에는 곧 대변을 누는 것[飯後隨卽大便] 815
[대변(大便)] 변비[大便秘結] 1380
[대변(大便)] 늙은이의 변비[老人秘結] 1063
[대변(大便)] 비약증(脾約證) 1034
[대변(大便)] 대변불통(大便不通) 1247
[대변(大便)] 도변법(導便法, 관장법) 819
[대변(大便)] 단방(單方)/대변 698
[대변(大便)] 침뜸치료[鍼灸法]/대변 7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