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상한병이 나으려고 하는 것[傷寒欲解]

한닥터 2011.09.15 조회 수 418 추천 수 0
◎ 傷寒欲解 ○ 傷寒三日脈浮數而微身溫和者此爲欲解也脈浮而解者?然汗出也脈浮而解者必能食也脈不浮而解必大汗出也[仲景] ○ 六七日脈至皆大煩而口?不能言躁擾者必欲解也[仲景] ○ 必當先煩乃有汗而解何以知之脈浮故知汗出解也[脈經] ○ 若脈平和其人大煩目重瞼內際黃者皆欲解也[脈經] ○ 脈浮數而微身溫和者欲解也[脈經] ○ 凡病反能飮水者爲欲愈[脈經] ○ 問曰脈病欲知愈未愈何以別之答曰寸口關上尺中三處大小浮沈遲數同等雖有寒熱不調者此脈爲陰陽和平雖劇當愈[脈經] ○ 問曰病有戰而汗出因得解者何也答曰脈浮而緊按之反?此爲本虛故當戰而汗出也其人本虛是以發戰也若浮而數按之不?此人本不虛故但出汗不發戰也[脈經] ○ 問曰有不戰不汗出而解者何也答曰其脈自微此以曾經發汗若吐若下若亡血以內無津液待陰陽自和必自愈故不戰不汗出而解也[脈經] ○ 太陽病無汗而?者自愈[仲景] ○ 問曰凡病何時得何時愈答曰日中得病夜半愈者以陽得陰則解也夜半得病日中愈者以陰得陽則解也[脈經] ○ 太陽知可解者爲頭不痛項不强肢節不痛則知表易解也陽明證知可解者爲無發熱惡寒則知裏易解也少陽知可解者寒熱亂作失其早晩知可解也[海藏]

☞ 상한병이 나으려고 하는 것[傷寒欲解]

 ○ 상한병 3일에 맥이 부삭(浮數)하면서 미(微)하고 몸이 온화한 것은 병이 나으려는 것이다. 맥이 부(浮)하면서 나으려는 것은 땀이 축축히 날 것이고 맥이 부하면서 나으려고 할 때에는 반드시 잘 먹는다. 맥이 부하지 않고 나으려고 할 때에는 반드시 땀이 많이 난다[중경]. ○ 상한병 6-7일에 맥이 다 대(大)하고 몹시 번열(煩熱)이 나며 이를 악물고 말을 하지 못하며 손발을 내두르는 것은 병이 반드시 나으려는 것이다[중경]. ○ 먼저 번열이 나고 땀이 나면서 낫는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그것은 맥이 부하기 때문에 땀이 나면 낫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맥경]. ○ 만일 맥이 정상이고 몹시 번열이 나며 눈이 터분하고 눈시울이 누른 것은 다 나으려는 것이다[맥경]. ○ 맥이 부삭(浮數)하면서 미(微)하며 몸이 온화한 것은 나으려는 것이다[맥경]. ○ 모든 병이 도리어 물을 잘 마시는 것은 나으려는 것이다[맥경]. ○ 묻기를 "맥으로써 병이 낫고 낫지 않을 것을 어떻게 아는가" 대답하기를 "촌구(寸口), 관상(關上), 척중(尺中)의 3곳에서 대소(大小)와 부침(浮沈), 지삭(遲數)이 같은 것은 비록 추웠다 더웠다 하는 것이 고르지 못하더라도 이것은 맥의 음양이 조화된 것이다. 그러므로 비록 병이 심하더라도 반드시 나을 것이다"고 하였다[맥경]. ○ 묻기를 "떨리면서 땀이 나고 병이 나으려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대답하기를 "맥이 부하면서 긴(緊)한데 누르면 도리어 규맥(?脈)이 나타나는 것은 본래 허약하기 때문인데 반드시 떨리면서 땀이 나는 것이다 환자가 본래 허약하면 떨리는 것이다. 만일 맥이 부삭한데 눌러도 규맥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본래 허약하지 않기 때문에 단지 땀만 나고 떨리지는 않는다"고 하였다[맥경]. ○ 묻기를 "떨리지도 않고 땀도 안 나고 낫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대답하기를 "그 맥이 자연히 미(微)할 것이다. 이것은 일찍이 땀을 냈거나 토하게 하였거나 설사시켰거나 피를 많이 흘려서 속에 진액(津液)이 없기 때문인데 음양(陰陽)이 자연히 조화될 때에라야 반드시 나을 것이다. 그러므로 떨리지도 않으며 땀도 나지 않고 낫는다"고 하였다[맥경]. ○ 태양병에 땀이 나지 않고 코피가 나는 것은 저절로 낫는다[중경]. ○ 묻기를 "병이 어느 때에 들었고 어느 때에 낫는가" 대답하기를 "병이 한낮에 들어 밤중에 낫는 것은 양이 음을 만나서 낫는 것이고 병이 밤중에 들어 한낮에 낫는 것은 음이 양을 만나서 낫는 것이다"고 하였다[맥경]. ○ 태양병(太陽病)이 풀리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머리가 아프지 않고 목이 뻣뻣하지 않으며 뼈마디가 아프지 않으면 표증이 낫는다는 것을 보고 알 수 있다. 양명병(陽明病)이 풀리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열이 나지 않고 열을 싫어하지 않으면 이증이 낫는다는 것을 보고 알 수 있다. 소양병(少陽病)이 풀리는 것을 아는 것은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순서없이 아침저녁으로 나타나는 것을 보고 알 수 있다[해장].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눈병은 표리와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眼病當分表裏虛實] 454
[화(火)] 비열(脾熱) 1384
[침구(針灸)] 임맥의 순행과 침혈[任脈流注及孔穴] 393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풀(草部)] 황정(黃精, 낚시둥굴레) 743
[풀(草部)] 창포(菖蒲, 석창포) 591
[풀(草部)]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백국화(白菊花, 흰국화) 고의(苦意, 들국화) 1616
[풀(草部)] 인삼(人蔘) 1150
[풀(草部)] 천문동(天門冬) 588
[풀(草部)] 감초(甘草) 감초소(甘草梢, 감초초) 감초절(甘草節, 감초마디) 1060
[풀(草部)]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찐지황) 710
[풀(草部)] 백출(白朮, 흰삽주) 창출(蒼朮, 삽주) 897
[풀(草部)] 토사자(兎絲子, 새삼씨) 768
[풀(草部)] 우슬(牛膝, 쇠무릎) 924
[풀(草部)] 충위자(?蔚子, 익모초씨) 충위경엽(?蔚莖葉, 익모초 줄기와 잎) 872
[풀(草部)] 시호(柴胡) 587
[풀(草部)] 맥문동(麥門冬) 846
[풀(草部)] 독활(獨活, 따두릅) 1221
[풀(草部)] 강활(羌活, 강호리) 583
[풀(草部)] 승마(升麻) 629
[풀(草部)]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690
[풀(草部)] 목향(木香) 504
[풀(草部)] 서여(薯?, 마) 507
[풀(草部)] 택사(澤瀉) 486
[풀(草部)] 원지(遠志) 629
[풀(草部)] 용담(龍膽) 537
[풀(草部)] 세신(細辛) 539
[풀(草部)] 석곡(石斛) 520
[풀(草部)] 파극천(巴戟天) 690
[풀(草部)] 적전(赤箭) 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