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상(內傷)

내상 때 조리하는 법[內傷將理法]

한닥터 2011.09.21 조회 수 558 추천 수 0
◎ 內傷將理法 ○ 服藥後若喜食一二日不可飽食恐胃再傷須少進美食助其藥力益升浮之氣而滋其胃氣愼不可淡食以損藥力而助邪氣之降沈也可以少役形體使胃氣得轉運升發愼勿大勞役使氣復傷若脾胃得安靜尤佳若胃氣稍强少食果以助穀藥之力經曰五穀爲養五果爲助是也[東垣] ○ 帝曰胃惡熱而喜淸冷大腸惡淸冷而喜熱兩者不和何以調之岐伯曰調此者飮食衣服亦欲適寒溫寒無凄?暑無出汗飮食熱無灼灼寒無??寒溫中適故氣將持乃不致邪僻也[靈樞] ○ 五味淡薄令人神爽氣淸[養性書] ○ 飮食欲相接而溫和宜食多而肉少 ○ 一切肉惟須煮爛停冷食之食畢當漱口數過勿食生肉傷胃[得效] ○ 茶之爲物四時皆不可多喫令人下焦虛冷惟飽食後煖飮一兩盞不妨盖能消食故也 ○ 茹性至冷菜苽雖治氣又能暗人耳目此等物四時皆不可多食老人尤宜忌之 ○ 脾好音樂夜食多則脾不磨周禮曰藥以侑食盖脾好音聲絲竹耳?聞脾卽磨矣[活人心] ○ 每食訖以手摩面及腹數百遍又行步躊躇計使中數里來則食易消令人能飮食無百病 ○ 飽食卽臥或不消成積聚 ○ 又夜勿過醉飽[得效] ○ 行住坐臥各得其宜不可至疲倦[東垣]

☞ 내상 때 조리하는 법[內傷將理法]

 ○ 약을 먹은 뒤에 음식이 잘 먹히면 1-2일 동안은 너무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위(胃)를 다시 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드시 맛있는 음식을 조금씩 먹어서 그 약 기운을 돕고 떠오르는 기를 보하여 그 위기(胃氣)를 보양하고 또 담박한 음식을 먹어서 약 힘을 약화시켜 완고해지는 사기를 조장시키지 말아야 한다. 이때 조금씩 노동을 하여 위기가 잘 돌아 올라 퍼지게 할 것이며 힘든 일을 지나치게 하여 다시 기를 상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 만일 비위(脾胃)가 안정되면 더욱 좋다. 만일 위기가 좀더 든든해지면 과일을 조금씩 먹어서 음식과 약 힘을 도와주어야 한다. 『내경』에 "5곡으로 영양하고 5가지 과일로써 도와준다"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동원]. ○ 황제가 묻기를 "위(胃)는 뜨거운 것을 싫어하고 시원한 것을 좋아하며 대장(大腸)은 시원한 것을 싫어하고 뜨거운 것을 좋아한다고 하는데 이 2가지가 조화되지 못한 때에는 어떻게 조화시켜야 하는가" 기백(岐伯)이 대답하기를 "그 2가지를 조화시키려면 의복과 음식을 차고 더운 것에 맞게 입거나 먹어야 한다. 즉 차게 하되 몸이 차게 입지 말고 덥게 하되 땀나게 입지 말며 음식을 뜨겁게 하되 혀를 댈 수 없게는 하지 말고 차게 하되 이가 시리지 않게 해야 한다. 차고 더운 것이 적당하면 기가 고르게 되어 병이 나지 않는다[영추]. ○ 담박(淡薄)한 음식을 먹으면 정신이 상쾌해지고 기가 맑아진다[양성서]. ○ 음식은 입에 맞는 것으로 따뜻하게 해서 먹을 것이며 밥을 많이 먹고 고기는 적게 먹을 것이다. ○ 일체 고기는 푹 삶아서 식혀 먹을 것이며 그것을 먹은 뒤에 양치해야 한다. 그리고 생고기를 많이 먹어서 위를 상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득효]. ○ 차(茶)는 어느 때나 너무 마시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하초(下焦)를 허하게 하고 차게 하기 때문이다. 다만 배불리 먹은 뒤에 더운 것을 1-2잔 마시는 것이 좋다. 그것은 음식을 소화시키기 때문이다. ○ 생절이는 성질이 차므로 채소와 오이는 비록 기(氣)를 치료하지만 사람의 귀와 눈을 어두워지게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것들은 어느 때나 많이 먹지 말 것이며 늙은이들은 더욱 삼가해야 한다. ○ 비(脾)는 음악을 좋아하며 밤에 음식을 많이 먹으면 비가 음식을 잘 소화시키지 못한다. 『주례』에 "음악을 들으면서 음식을 권하라"고 하였는데 대체로 비는 음악을 좋아하므로 그것을 들으면 비가 곧 소화를 시킨다[활인심]. ○ 매번 음식을 먹은 뒤에 손으로 얼굴과 배를 수백 번 문지르고 몇 리 걸을 만한 시간을 제자리에서 걸으면 음식이 쉽게 소화되고 음식을 잘 먹으며 온갖 병이 없어진다. ○ 배불리 먹고 곧 누우면 혹 소화되지 않고 적취(積聚)가 된다. ○ 또 밤에 술을 많이 마시거나 배부르게 먹지 말아야 한다[득효]. ○ 걷거나 서 있거나 앉거나 눕는 것을 각각 알맞게 해야 하고 피로하게까지 하는 것은 좋지 못하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구급(救急)] 갑자기 죽는 것(卒死) 27729
[신장(腎臟)] 신병의 증상[腎病證] 19690
[포(胞)]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9092
[기침(咳嗽)] 한수(寒嗽) 6139
[피부(皮)] 마목(麻木) 5602
[포(胞)] 월경이 중단된 것[血閉] 5532
[신장(腎臟)] 신병의 허증과 실증[腎病虛實] 5526
[신형(身形)] 신기한 베개를 만드는 방법[神枕法] 4508
[꿈(夢)] 나쁜 꿈[惡夢]을 꾸지 않게 하는 방법[?惡夢] 4484
[신형(身形)] 신형장부도 身形藏府圖 2 4472
[화(火)] 양허와 음허의 2가지 증의 감별[辨陽虛陰虛二證] 4281
[신(神)] 침뜸치료[鍼灸法]/신 4261
[입과 혀(口舌)] 하품하다가 턱이 어긋난 것[失欠脫?] 4142
[부인(婦人)] 임신할 수 있게 하는 법[求嗣] 4054
[신형(身形)] 임신의 시초[胎孕之始] 3928
[가슴(胸)] 진심통(眞心痛) 3466
[용약(用藥)] 생리작용의 근원을 보하는 것[滋化源] 3286
[허로(虛勞)] 음이 허한 데 쓰는 약[陰虛用藥] 3126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3066
[옹저(癰疽)] 홍사정(紅絲?) 3058
[신장(腎臟)] 신장에 속한 것들[腎屬物類] 2950
[배(腹)] 배가 아프고 구토하면서 설사하는 것[腹痛嘔泄] 2903
[목구멍(咽喉)] 목젖이 부어서 내려 드리운 것[懸雍垂] 2882
[제창(諸瘡)] 나력(??) 3 2813
[제창(諸瘡)] 대풍창(大風瘡, 문둥병) 2737
[부종(浮腫)]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2731
[담음(痰飮)]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2708
[정(精)] 성욕을 조절하여 정액을 간직한다[節慾儲精] 2627
[손(手)] 생손앓이[代指] 2623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