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변두(?豆, 까치콩 또는 변두콩) 변두엽(?豆葉, 까치콩잎) 변두화(?豆花, 까치콩꽃)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738 추천 수 0
◈ ?豆 ○ 변두콩性微溫(一云微寒一云平)味甘無毒主和中下氣療?亂吐利不止轉筋[本草] ○ 其實有黑白二種白者溫而黑者小冷入藥當用白者[本草] ○ 亦名鵲豆以其黑間而有白道如鵲也[本草] ○ 解一切草木毒及酒毒亦解河?毒[本草] ○ 凡使去皮生薑汁拌炒用[入門] ○ 患寒熱者不可食[本草] ○ 卽白扁豆也[本草]

☞ 변두(?豆, 까치콩 또는 변두콩)

○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하고 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중초를 조화시키고[和中] 기를 내리면서[下氣] 곽란, 설사, 구토, 쥐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본초]. ○ 까치콩에는 검은 것과 흰 것 2가지가 있는데 흰 것은 성질이 따뜻하고[溫] 검은 것은 성질이 약간 차다[小冷]. 약으로는 반드시 흰 것을 쓴다[본초]. ○ 또한 작두(鵲豆)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검은 줄 사이에 흰 줄이 있어서 까치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다[본초]. ○ 일체 풀과 나무의 독[草木毒], 술독, 복어독(河?毒)을 푼다[본초]. ○ 껍질을 버리고 생강즙에 버무려 볶아서 쓴다[입문]. ○ 춥다가 열이 나는 환자는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이것이 바로 백편두(白扁豆)이다[본초]. 

◈ 葉 ○ 변두닙主?亂吐下不止又搗付蛇?咬[本草]
☞ 변두엽(?豆葉, 까치콩잎) ○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짓찧어 뱀이나 벌레에게 물린 데[蛇蟲咬毒] 붙이기도 한다[본초]. 

◈ 花 ○ 변두?主女子赤白帶下[本草]
☞ 변두화(?豆花, 까치콩꽃) ○ 적백대하(赤白帶下)를 치료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인부(人部)] 자수(?鬚, 수염) 522
[인부(人部)] 발피(髮?, 달비) 499
[인부(人部)] 난발(亂髮) 507
[인부(人部)] 인부(人部) 528
[곡식(穀部)] 직미(稷米, 피쌀) 615
[곡식(穀部)] 용저두세강(?杵頭細糠, 절구공이 묻은 겨) 436
[곡식(穀部)] 두부(豆腐) 563
[곡식(穀部)] 이당(飴糖, 엿) 580
[곡식(穀部)] 초(醋, 식초) 529
[곡식(穀部)] 장(醬) 676
[곡식(穀部)] 시(?, 약전국) 369
[곡식(穀部)] 주(酒, 술) 648
[곡식(穀部)] 앵자속(罌子粟, 아편꽃씨) 앵속각(罌粟殼) 아편(鴉片) 699
[곡식(穀部)]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451
[곡식(穀部)] 출촉(??, 수수) 559
[곡식(穀部)]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556
[곡식(穀部)] 완두(豌豆) 464
[곡식(穀部)] 녹두(菉豆) 녹두분(菉豆粉, 녹두가루) 560
[곡식(穀部)] 변두(?豆, 까치콩 또는 변두콩) 변두엽(?豆葉, 까치콩잎) 변두화(?豆花, 까치콩꽃) 738
[곡식(穀部)] 교맥(蕎麥, 메밀) 교맥면(蕎麥麵, 메밀가루) 교맥엽(蕎麥葉, 메밀잎) 교맥양(蕎麥穰, 메밀대) 1001
[곡식(穀部)] 대맥얼(大麥蘖, 보리길금) 492
[곡식(穀部)] 대맥면(大麥麵, 보리쌀가루) 443
[곡식(穀部)]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403
[곡식(穀部)] 광맥(?麥, 겉보리) 511
[곡식(穀部)] 대맥(大麥, 보리) 854
[곡식(穀部)] 소맥노(小麥奴, 밀깜부기) 392
[곡식(穀部)] 소맥묘(小麥苗, 갓 돋은 밀싹) 518
[곡식(穀部)] 부소맥(浮小麥, 밀쭉정이) 477
[곡식(穀部)] 부(?, 밀기울) 423
[곡식(穀部)] 신국(神麴, 약누룩) 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