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조회 수
[부인(婦人)] 해산할 임박에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할 약품[臨産預備藥物] 996
[부인(婦人)] 해산 후의 자궁탈출이 된 것[産後陰脫] 1000
[혈(血)] 망혈증(亡血證)과 탈혈증(脫血證)[亡血脫血證] 1023
[입과 혀(口舌)] 허화로 입 안이 허는 것[虛火口瘡] 1035
[적취(積聚)] 혈적(血積) 1035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亂後轉筋] 1045
[코(鼻)] 비사(鼻?) 1049
[부인(婦人)] 혈붕(血崩) 1050
[오줌(小便)] 여러 가지 임병[諸淋證] 1056
[포(胞)] 처녀가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室女月經不行] 1080
[옆구리(脇)] 어혈로 옆구리가 아픈 것[死血脇痛] 1082
[귀(耳)] 허하여 귀가 먹은 것[虛聾] 1107
[허리(腰)] 식적으로 허리가 아픈 것[食積腰痛] 1108
[옆구리(脇)] 협통에도 허증과 실증이 있다[脇痛有虛實] 1124
[포(胞)] 월경이 끊어졌다가 다시 나오는 것[經斷復行] 1131
[화(火)] 올라오는 기운은 화에 속한다[上升之氣屬火] 1146
[학질(?疾)] 6경 학질[六經?] 1150
[오줌(小便)] 늙은이와 허약한 사람이 오줌을 잘 누지 못하는 것[老虛人癃閉] 1162
[포(胞)] 피가 엉켜서 가가 된 것[血結成?] 1182
[학질(?疾)] 학질은 낮에 발작하는 것과 밤에 발작하는 것을 반드시 갈라서 치료해야 한다[?晝發夜發宜分治] 1191
[풍(風)] 조섭하여 치료하거나 예방하여야 한다[調治預防] 1205
[제창(諸瘡)] 신장풍창(腎臟風瘡) 1240
[발(足)] 학슬풍(鶴膝風) 1256
[기침(咳嗽)]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1271
[적취(積聚)] 충적(蟲積) 1300
[포(胞)] 월경빛을 좋아지게 하는 치료법[和血治法] 1308
[기침(咳嗽)] 노수(勞嗽) 1377
[혈(血)] 피를 흘린 뒤의 어지럼증[失血眩暈] 1396
[혈(血)] 혈병(血病)에 두루 쓰는 약[通治血病藥餌] 1417
[전음(前陰)] 음정(陰挺)과 음탈(陰脫) 1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