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조회 수
[한(寒)] 병이 나은 뒤에 정신이 흐릿한 것[差後昏沈] 489
[한(寒)] 단방(單方)/한(寒) 489
[사수(邪崇)] 단방(單方) 489
[소아(小兒)] 홍사류(紅絲瘤) 489
[소아(小兒)] 마마를 진찰하는 법[辨痘證] 489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이질[痘後痢疾] 489
[침구(針灸)] 계절에 맞게 침놓는 방법[四時鍼法] 490
[침구(針灸)] 침을 놓을 때 역증과 순증을 가려야 한다[用鍼宜審逆順] 490
[눈(眼)] 책을 많이 읽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讀書損目] 490
[머리털(毛髮)] 환관은 수염이 없다[宦官無鬚] 490
[용약(用藥)] 병을 치료하는 3가지 방법[治病三法] 490
[용약(用藥)] 18제(十八劑) 490
[옹저(癰疽)] 옹저의 전구증상[癰疽欲發之候] 490
[옹저(癰疽)] 옹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癰疽死證] 490
[소아(小兒)] 마마를 예방하는 법[痘瘡預防法] 490
[소아(小兒)] 단방(單方) 490
[침구(針灸)] 침과 뜸치료를 같이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灸不可?施] 491
[충(蟲)] 소갈에 충이 있다[消渴有蟲] 491
[천지운기(天地運氣)] 12지(十二支) 491
[기침(咳嗽)] 천식과 기침을 세게 억눌러서 치료하는 약[喘嗽劫藥] 491
[제창(諸瘡)] 꺼릴 것[禁忌法] 491
[구급(救急)] 우물이나 무덤에 들어갔다가 갑자기 죽은 것[入井塚卒死] 491
[풀(草部)] 고량강(高良薑, 양강) 492
[천지운기(天地運氣)] 하늘과 땅이 의존하는 것[天地依附] 492
[천지운기(天地運氣)] 지방에 따라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이 다르다[地理有壽夭之異] 492
[용약(用藥)] 표본을 갈라 치료하는 데 대한 노래[標本分治歌] 492
[잡방(雜方)] 비전삼선고[秘傳三仙?] 492
[탕액서례(湯液序例)] 한증약은 가라앉으며 엉키게 한다[寒沈藏] 492
[곡식(穀部)] 대맥얼(大麥蘖, 보리길금) 492
[채소(菜部)] 나륵(羅勒) 나륵자 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