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조회 수
[천지운기(天地運氣)] 6임년(六壬年)은 발생(發生)의 해[六壬年發生之紀] 502
[용약(用藥)] 약을 쓸 때에는 반드시 시금(時禁), 경금(經禁), 병금(病禁), 약금(藥禁)을 알아야 한다[凡用藥必知時禁經禁病禁藥禁] 502
[토[吐]] 봄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春宜吐] 502
[토[吐]] 용토제는 쓰기가 어렵다[涌劑難用] 502
[토[吐]] 척맥이 나타나지 않을 때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下部脈不見宜吐] 502
[괴질(怪疾)] 괴상한 병은 보통병과 다르다[怪疾異常] 502
[소아(小兒)] 뇌감(腦疳) 502
[인부(人部)] 인유즙(人乳汁) 502
[목구멍(咽喉)] 잘못하여 여러 가지 벌레를 삼킨 것[誤呑諸蟲] 503
[심병(審病)] 밤과 낮에 따라 병이 경해지거나 중해지는 것[凡病晝夜輕重] 503
[토[吐]] 약을 코로 넣어 주는 방법[灌鼻法] 503
[풍(風)] 비증 때에는 흔히 마목을 겸하게 된다[痺病多兼麻木] 503
[한(寒)] 상한 때 토하게 할 수 있는 증[傷寒可吐證] 503
[제상(諸傷)] 단방(單方) 503
[새(禽部)] 백합(白?, 흰 비둘기) 503
[채소(菜部)] 제니(薺?) 503
[채소(菜部)] 군달(??, 근대) 503
[풀(草部)] 목향(木香) 504
[충(蟲)] 응성충증[應聲蟲] 504
[눈(眼)] 택곽(澤廓) 504
[눈(眼)] 선라첨기(旋螺尖起) 504
[살(肉)] 살에는 계곡과 같은 것이 있다[肉有谿谷] 504
[후음(後陰)] 맥 보는 법[脈法] 504
[용약(用藥)] 최근의 의학이론에 대하여[近世論醫] 504
[용약(用藥)] 보하고 사하는 묘한 비결[補瀉妙訣] 504
[하(下)] 단방(單方) /하(下) 504
[부인(婦人)] 겉에 약을 붙이는 법[外貼法] 504
[침구(針灸)] 뜸자리가 몹시 헌 것을 치료하는 방법[療灸瘡法] 505
[전음(前陰)] 근산(筋疝) 505
[변증(辨證)] 속한 것을 찾는 방법[求屬法] 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