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조회 수
[부인(婦人)] 임신부에게서 나타난 상태와 빛깔로 태아의 생사를 가리는 법[察色驗胎生死] 555
[새(禽部)] 자아(慈鴉, 갈까마귀) 555
[화(火)] 단방(單方) 556
[곡식(穀部)]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556
[한(汗)] 땀을 자주 내면 수명이 짧아진다[促汗夭壽] 557
[황달(黃疸)] 맥 보는 법[脈法] 557
[해독(解毒)] 뜸치료[灸法] 557
[부인(婦人)] 자학(子?) 557
[곡식(穀部)] 백유마유(白油麻油, 흰참깨기름) 557
[침구(針灸)] 족궐음간경의 순행[足厥陰肝經流注] 558
[배꼽(臍)] 배꼽을 덥게 하는 것이 좋다[臍宜溫煖] 558
[풍(風)] 맥 보는 법[脈法] 558
[젖(乳)] 몸풀기 전에 젖이 나오는 것[産前乳出] 559
[내상(內傷)] 내상 때 조리하는 법[內傷將理法] 559
[부종(浮腫)] 맥 보는 법[脈法] 559
[곡식(穀部)] 출촉(??, 수수) 559
[물고기(魚部)] 황상어(黃?魚) 559
[침구(針灸)] 침을 놓는 데는 기술이 있어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要得術] 560
[한(汗)] 땀을 많이 내면 망양증이 생긴다[汗多亡陽] 560
[황달(黃疸)] 치료할 수 있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可治不治證] 560
[소아(小兒)] 토하고 설사하는 증에 대한 이론[吐瀉論證] 560
[곡식(穀部)] 두황(豆黃, 콩가루) 560
[곡식(穀部)] 녹두(菉豆) 녹두분(菉豆粉, 녹두가루) 560
[이빨(牙齒)] 신 것을 먹어서 이빨이 시큰거리는 것[食酸齒?] 561
[풍(風)] 갑자기 넘어지는 것[暴?] 561
[창만(脹滿)] 단방(單方) 561
[해독(解毒)] 반묘나 원청에 중독된 것[斑猫?靑毒] 561
[잡방(雜方)] 흉년에 음식을 먹지 않고도 사는 방법[救荒?穀方] 561
[소아(小兒)] 풍한열(風寒熱) 561
[침구(針灸)] 병을 치료하는 데 주요한 혈[主病要穴] 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