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조회 수
[흙(土部)] 백초상(百草霜) 753
[적취(積聚)] 맥 보는 법[脈法] 754
[옹저(癰疽)] 부골저가 생기려고 할 때에 예방하는 방법[始發豫防法] 754
[소아(小兒)] 설사와 이질[泄痢] 754
[곡식(穀部)] 나미(?米, 찹쌀) 나도간(?稻稈, 찰볏집) 754
[발(足)] 궐에는 한증과 열증이 있다[厥有寒熱] 755
[하(下)] 설사를 몹시 시킨 다음 설사가 멎지 않는 것[大下後難禁] 755
[진액(津液)] 절한(絶汗) 756
[배(腹)] 배가 아픈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腹痛宜通利] 756
[풍(風)] 여러 가지 풍증을 두루 치료하는 처방[諸風通治] 756
[짐승(獸部)] 올눌제(??臍, 해구신) 756
[짐승(獸部)] 야타지(野駝脂, 낙타기름) 756
[심장(心臟)] 심에 속한 것들[心屬物類] 757
[코(鼻)] 얼굴과 코에 검은 자줏빛이 나는 것[面鼻紫黑] 757
[조(燥)] 조는 피가 적기 때문에 생긴다[燥因血少] 757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의 예후가 좋거나 나쁜 증[泄痢吉凶證] 758
[기(氣)] 꺼려야 할 것[禁忌]/기 759
[오장육부(五臟六腑)] 장부를 음과 양으로 가른다[臟腑陰陽] 759
[대변(大便)] 금구리(噤口痢) 759
[곽란(?亂)] 곽란 때 토하게 하는 방법[?亂吐法] 759
[기침(咳嗽)] 기침의 여러 가지 증상[咳嗽諸證] 759
[과실(果部)] 유자(柚子) 759
[코(鼻)] 코는 폐와 통하는 구멍이다[鼻爲肺之竅] 760
[내상(內傷)] 음식에 상한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內傷飮食宜下 760
[곽란(?亂)] 배멀미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水疾吐瀉] 760
[소아(小兒)] 실열(實熱) 760
[혈(血)] 내상이 되면 피를 흘리게 된다[內傷失血] 761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小腸外候] 761
[벌레(蟲部)] 오령지(五靈脂) 761
[소아(小兒)] 구배와 구흉[龜背龜胸] 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