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조회 수
[풀(草部)] 서여(薯?, ) 507
[풀(草部)] 사이(?耳, 도꼬리) 사이실(?耳實, 도꼬마리열매) 465
[대변(大便)] 풍설(風泄) 829
[대변(大便)] 손설(飱泄) 1515
[머리(頭)] 담궐두통(痰厥頭痛) 1478
[머리(頭)] 머리가 아픈 것은 반드시 6경을 갈라보아야 한다[頭痛當分六經] 883
[눈(眼)] 옥예부만(玉瞖浮滿) 389
[눈(眼)] 순생예와 역생예[順逆生瞖 ] 349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방법[心胃痛治法] 981
[젖(乳)] 유옹(乳癰) 1509
[발(足)] 각기병(脚氣病)을 치료하는 방법[脚氣治法] 2164
[전음(前陰)] 한쪽 고환이 커져서 내려 처진 것[陰卵偏墜] 1134
[풍(風)] 입과 눈이 삐뚤어지는 것[口眼?斜] 1359
[풍(風)] 중풍의 열증[中風熱證] 1 1377
[한(寒)] 양명비약증(陽明脾約證) 645
[한(寒)] 소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少陰形證用藥] 1421
[한(寒)] 상한 때의 발광증[傷寒發狂] 933
[한(寒)] 상한 때의 혈증[傷寒血證] 854
[한(寒)]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1055
[습(濕)] 안개와 이슬 기운이 장기가 된다[霧露之氣爲?] 1036
[기침(咳嗽)] 풍한천(風寒喘) 1177
[기침(咳嗽)] 기천(氣喘) 1135
[학질(?疾)] 학질은 낮에 발작하는 것과 밤에 발작하는 것을 반드시 갈라서 치료해야 한다[?晝發夜發宜分治] 1191
[학질(?疾)] 풍학(風?) 883
[제창(諸瘡)] 개선(疥癬, 옴과 버짐) 1460
[소아(小兒)]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958
[곡식(穀部)] 유(胡麻油, 검정참깨기름) 987
[곡식(穀部)] 혜저(故麻鞋底, 헌 삼신짝의 바닥) 493
[채소(菜部)] 치현(馬齒?, 쇠비름) 마치현자(馬齒 子, 쇠비름씨) 659
[풀(草部)] 변축(?蓄, 디풀)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