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조회 수
[눈(眼)] 늙은이의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老人眼昏] 664
[귀(耳)] 소리가 중복해 들릴 때[耳重聽] 798
[입과 혀(口舌)] 입맛이 짠 것[口鹹] 1536
[목구멍(咽喉)] 급후비(急喉痺) 917
[가슴(胸)] 비(?)에는 한증과 열증이 있다[?有寒熱] 911
[손(手)] 어깻죽지와 팔의 병의 원인[肩臂病因] 1540
[천지운기(天地運氣)] 6계년(六癸年)은 복명(伏明)의 해[六癸年伏明之紀] 385
[풍(風)] 갑자기 벙어리가 되는 것[暴?] 859
[한(寒)] 양명병에 꺼릴 것[陽明病禁忌] 1007
[한(寒)] 상한음증(傷寒陰證) 1631
[한(寒)] 상한 때의 섬어와 정성[傷寒?語鄭聲] 1522
[한(寒)] 병이 나은 뒤에 정신이 흐릿한 것[差後昏沈] 489
[서(暑)] 복서증(伏暑證) 741
[화(火)] 하초열(下焦熱) 1192
[내상(內傷)] 식상 때 소화시키는 약[食傷消導之劑] 1994
[기침(咳嗽)] 노수(勞嗽) 1377
[소갈(消渴)] 강중증(强中證) 789
[학질(?疾)] 6경 학질[六經?] 1150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85
[옹저(癰疽)] 부골저가 생기려고 할 때에 예방하는 방법[始發豫防法] 754
[제창(諸瘡)] 감루(疳瘻) 823
[구급(救急)] 시궐(尸厥) 697
[부인(婦人)] 해산 후에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과 유뇨증[産後淋瀝遺尿] 663
[소아(小兒)] 밤에 우는 증[夜啼] 825
[소아(小兒)] 급경풍과 만경풍을 두루 치료하는 약[急慢驚風通治] 733
[소아(小兒)] 풍한에 감촉된 것[感冒風寒] 675
[소아(小兒)] 독을 푸는 것[解毒] 785
[흙(土部)] 토(好黃土, 좋은 황토) 701
[새(禽部)] 갈후(黃褐侯 호도애) 377
[나무[木部]] 벽(黃蘗, 황백) 황벽근(黃蘗根, 황경피나무뿌리) 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