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조회 수
[내상(內傷)] 입맛을 잃는 것은 하초의 원양이 쇠약하기 때문이다[不嗜飮食由下元陽衰] 776
[소아(小兒)] 객오와 중악[客?中惡] 776
[소갈(消渴)] 소갈의 원인[消渴之源] 775
[소아(小兒)] 심열(心熱) 775
[과실(果部)] 연실(蓮實, 연밥) 우즙(藕汁, 연근을 짜낸 물) 하엽(荷葉, 연잎) 연화(蓮花, 연꽃) 연의(蓮薏, 연실의 심) 775
[피부(皮)] 자전풍을 치료하는 처방[治紫?風方] 773
[머리털(毛髮)] 희어진 수염이나 머리털을 검게 물들이는 방법[染白烏鬚髮] 773
[옹저(癰疽)] 변옹(便癰) 773
[소아(小兒)] 여러 가지 헌데[諸瘡] 773
[한(汗)] 땀을 내는 방법[發汗法] 772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는 작용이 다르다[臟腑異用] 771
[대변(大便)] 대변빛으로 갈라보는 방법[辨便色] 771
[얼굴(面)] 얼굴은 모든 양이 모이는 곳이다[面爲諸陽之會] 771
[눈(眼)] 눈에는 내자와 외자가 있다[眼有內外?] 771
[한(寒)] 상한결흉(傷寒結胸) 771
[오줌(小便)] 침뜸치료[鍼灸法]/오줌 770
[습(濕)] 습에는 내습과 외습이 있다[濕有內外之殊] 770
[곡식(穀部)] 여두(?豆, 쥐눈이콩) 770
[새(禽部)] 백웅계육(白雄?肉, 흰 수탉의 고기) 770
[포(胞)] 월경의 형태와 빛깔[月候形色] 769
[이빨(牙齒)] 이빨을 튼튼하게 하는 수양법[修養固齒法] 769
[전음(前陰)] 여러 가지 산증에 두루 쓰는 약[諸疝通治] 769
[풍(風)] 정신이 흐릿한 것[精神蒙昧] 769
[풀(草部)] 토사자(兎絲子, 새삼씨) 768
[포(胞)] 단방(單方)/포 768
[이빨(牙齒)] 이빨이 빠지는 것[牙齒脫落] 768
[물고기(魚部)] 즉어(?魚, 붕어) 768
[채소(菜部)] 황촉규화(黃蜀葵花, 닥풀) 황촉규자(黃蜀葵子, 황촉규씨) 768
[진액(津液)] 느침[唾] 767
[위부(胃腑)] 위의 형태[胃形象] 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