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조회 수
[담음(痰飮)] 가래침을 자주 뱉는 것[喜唾痰] 2018
[충(蟲)] 회궐로 충을 토하는 것[蛔厥吐蟲] 865
[대변(大便)] 여러 가지 설사증[泄瀉諸證] 1180
[대변(大便)] 한설(寒泄) 1127
[대변(大便)] 주설(酒泄) 1233
[대변(大便)] 허리(虛痢) 1007
[대변(大便)] 구리(久痢) 827
[얼굴(面)] 얼굴이 시린 것[面寒] 997
[입과 혀(口舌)] 허화로 입 안이 허는 것[虛火口瘡] 1035
[배(腹)] 배 아픈 부위가 다르다[腹痛有部分] 2285
[배(腹)] 복통에는 허증과 실증이 있다[腹痛有虛實] 1243
[배꼽(臍)] 배꼽 부위가 툭툭 뛰는 증[臍築證] 1089
[전음(前陰)] 분돈산기(奔豚疝氣) 1328
[하(下)] 설사를 몹시 시킨 다음 설사가 멎지 않는 것[大下後難禁] 755
[한(寒)] 태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약 쓰는 방법[太陰形證用藥] 1393
[한(寒)] 태음병 때에 황달이 생기는 것[太陰病發黃] 949
[한(寒)] 상한음궐(傷寒陰厥) 816
[한(寒)] 음극사양(陰極似陽) 862
[한(寒)] 상한전율(傷寒戰慄) 696
[한(寒)] 상한동기(傷寒動氣) 714
[한(寒)] 상한에 저절로 설사가 나는 것[傷寒自利] 711
[한(寒)] 고랭(痼冷) 699
[습(濕)] 안개와 이슬의 맑고 탁한 사기가 사람에게 침습한다[霧露淸濁之邪中人] 1021
[곽란(?亂)] 건곽란을 치료하는 방법[乾?亂治法] 1169
[곽란(?亂)] 습곽란을 치료하는 방법[濕?亂治法] 1230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亂後轉筋] 1045
[황달(黃疸)] 음황(陰黃) 1229
[소아(小兒)] 토하고 설사하는 것[吐瀉] 1284
[소아(小兒)] 배가 아프고 불러 오르는 것[腹痛腹脹] 920
[소아(小兒)] 구토(嘔吐) 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