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조회 수
[화(火)] 비열(脾熱) 1384
[풀(草部)] 금(黃芩, 속썩은풀) 황금자(黃芩子, 속썩은풀 씨) 700
[신(神)] 전광(癲狂) 2150
[혈(血)] 피똥[便血] 1916
[진액(津液)] 저절로 나는 땀[自汗] 2290
[포(胞)] 피가 엉켜서 가가 된 것[血結成?] 1182
[대변(大便)] 풍설(風泄) 829
[대변(大便)] 열리(熱痢) 941
[머리(頭)] 머리가 아픈 것은 반드시 6경을 갈라보아야 한다[頭痛當分六經] 883
[눈(眼)] 노육반정(努肉攀睛) 509
[눈(眼)] 예막(瞖膜) 963
[귀(耳)] 습으로 귀가 먹은 것[濕聾] 930
[코(鼻)] 코 안이 허는 것[鼻瘡] 947
[이빨(牙齒)] 어혈로 이빨이 아픈 것[瘀血痛] 956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방법[心胃痛治法] 981
[피부(皮)] 마목(麻木) 5603
[후음(後陰)] 장풍(腸風)과 장독(臟毒) 2145
[풍(風)] 중풍에는 중혈맥, 중부, 중장의 차이가 있다[風有中血脈中腑中臟之異] 1618
[한(寒)] 태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太陽形證用藥] 1096
[한(寒)]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1089
[한(寒)] 상한번조(傷寒煩躁) 1099
[한(寒)] 노복증과 식복증[勞復食復證] 1105
[서(暑)] 무더운 여름에는 기(氣)를 보해야 한다[夏暑宜補氣] 1172
[화(火)] 신열(腎熱) 2006
[화(火)]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하는 것[陰虛火動] 1663
[내상(內傷)] 음식에 상한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內傷飮食宜下 760
[구토(嘔吐)] 구토, 열격, 반위 때에는 대변을 통하게 해야 한다[嘔吐?膈反胃宜通大便] 1092
[소갈(消渴)]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2470
[황달(黃疸)] 한(黃汗) 치료법 731
[온역(瘟疫)] 온역을 치료하는 방법[瘟疫治法] 2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