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장육부(五臟六腑)

장의 병은 치료하기 어렵고 부의 병은 쉽다[臟腑病治有難易]

한닥터 2011.07.19 조회 수 699 추천 수 0

臟腑病治有難易 難經曰藏病難治府病易治何謂也.然藏病所以難治者傳其勝也.府病易治者傳其子也.藏病傳其所勝者假令心病傳肺肺傳肝肝傳脾脾傳腎腎傳心一藏不再傳故言次傳者死府病傳其子者假令心病傳脾脾傳肺肺傳腎腎傳肝肝傳心是子母相傳周而復始故言生也. 內經曰邪風之至疾如風雨故善治者治皮毛其次治肌膚其次治筋脈其次治六府其次治五藏治五藏者半死半生也.


장의 병은 치료하기 어렵고 부의 병은 쉽다[臟腑病治有難易


 ○ 『난경에는 "5장의 병은 치료하기 어렵고 6부의 병은 치료하기 쉽다. 5장의 병을 치료하기 어려운 것은 자기가 이기는 장에 병을 전하기 때문이다[傳其勝]. 부의 병을 치료하기 쉬운 것은 자기가 생하는 장기에 병을 전하기 때문이다[傳其子]. 장이 자기가 이기는 장에 병을 전한다는 것은 심()은 병을 폐()에 전하고 폐는 병을 간()에 전하며 간은 병을 비()에 전하고 비는 병을 신()에 전하며 신은 병을 심()에 전한다는 것이다. 1개의 장이 병을 2번은 전하지 못하는데 만약 2번 전하면 죽는다. ()가 병을 자기가 생하는 장기에 전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심은 병을 비에 전하고 비는 병을 폐에 전하며 폐는 병을 신에 전하고 신은 병을 간에 전하고 간은 병을 심에 전하는 것과 같다. 이것은 아들과 어머니격인 장기가 서로 전한다는 것인데 1번 돌고는 다시 시작하기 때문에 산다[]"고 씌어 있다. ○ 『내경"풍사(風邪)로 병이 생기는 것은 비바람같이 빠른데 잘 치료하는 의사는 병이 피모(皮毛)에 있을 때 치료한다. 그 다음은 병이 피부와 살 사이에 있을 때 그 다음은 근맥(筋脈)에 있을 때 그 다음은 6부에 있을 때 그 다음은 5장에 있을 때 치료한다. 5장에 병이 있을 때 치료하면 절반은 죽고 절반은 살릴 수 있다"고 씌어 있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신(神)] 신(神)이 7정(七情)을 거느리므로 신이 상하면 병이 된다[神統七情傷則爲病] 1339
[손(手)] 담음이 있으면 흔히 팔이 아프다[痰飮多爲臂痛] 1338
[진액(津液)] 손발에서 땀이 나는 것[手足汗] 1337
[심장(心臟)] 심장의 위치[心部位] 1335
[서(暑)] 서병에는 모서(冒暑),중서(中暑), 상서(傷暑)의 3가지 증이 있다[暑有冒暑中暑傷暑三證] 1331
[구토(嘔吐)] 토하는 병에는 3가지가 있다[吐病有三] 1330
[학질(?疾)] 식학(食?) 1330
[전음(前陰)] 분돈산기(奔豚疝氣) 1328
[가슴(胸)] 결흉(結胸) 1327
[한(寒)] 소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少陽形證用藥] 1327
[허로(虛勞)] 심이 허한 데 쓰는 약[心虛藥] 1327
[구토(嘔吐)] 오심과 헛구역[惡心乾嘔] 1327
[부종(浮腫)] 기분증과 혈분증[氣分證血分證] 1325
[대변(大便)] 식적설(食積泄) 1317
[귀(耳)] 귀에서 진물이 흐르는 것[?耳] 1314
[신형(身形)] 사철의 기후에 맞게 정신을 수양한다[四氣調神] 1313
[담음(痰飮)] 담괴(痰塊) 1313
[오줌(小便)] 전포증(轉?證) 1309
[포(胞)] 월경빛을 좋아지게 하는 치료법[和血治法] 1308
[과실(果部)] 도핵인(桃核仁, 복숭아씨) 도화(桃花, 복숭아꽃) 도효(桃梟, 나무에 달린 마른 복숭아) 도모(桃毛, 복숭아털) 도두(桃?, 복숭아나무벌레) 경백피(莖白皮, 복숭아나무속껍질) 도엽(桃葉, 복숭아나무잎) 도교(桃膠, 복숭아나무진) 도실(桃實, 복숭아열매) 1307
[오줌(小便)] 혈림(血淋) 1306
[충(蟲)] 여러 가지 기생충병을 치료하는 약[治諸蟲藥] 1304
[이빨(牙齒)] 벌레가 먹어서 이빨이 아픈 것[蟲蝕痛] 1304
[발(足)] 한궐(寒厥) 1303
[허리(腰)] 담음으로 허리가 아픈 것[痰飮腰痛] 1302
[옆구리(脇)] 담음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痰飮脇痛] 1302
[기(氣)] 단기(短氣) 1301
[적취(積聚)] 충적(蟲積) 1300
[허로(虛勞)] 허로를 치료하는 갈가구의 10가지 약[葛可久治虛勞十藥] 1 1298
[포(胞)] 자궁에 열이 들어간 것[熱入血室] 1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