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방(雜方)

운모고(雲母膏)

한닥터 2011.10.07 조회 수 416 추천 수 0
? 雲母膏 ○ 雲母?硝甘草各四兩槐枝柳枝陳皮桑白皮側栢葉水銀各二兩川椒白芷沒藥赤芍藥肉桂當歸鹽花黃?血竭菖蒲白?芎?木香白斂防風厚朴麝香桔梗柴胡松脂人參黃芩蒼朮草龍膽合歡乳香附子茯?高良薑各五錢黃丹十四兩淸油二斤半右除雲母?硝血竭沒藥乳香麝香黃丹鹽花外餘藥?浸油中七日後文火煎候白芷附子焦黃色以布絞去滓再熬後下黃丹等八味細末以柳木?不住手攪直至膏凝滴水中成珠爲度傾在磁器內彈水銀在上每用刮去水銀凡癰疽瘡腫外貼內服神效[局方]

☞ 운모고(雲母膏)

○ 운모, 염초, 감초 각각 160g, 홰나무가지, 버드나무가지, 陳皮, 상백피, 측백잎, 수은㈜ 각각 80g, 산초(천초), 백지, 몰약, 적작약, 육계, 당귀, 염화, 황기, 혈갈, 석창포, 백급, 천궁, 목향, 가위톱(백렴), 방풍, 후박, 사향, 길경, 시호, 송진, 인삼, 황금, 창출, 용담초, 자귀나무껍질(合歡), 유향, 부자, 복령, 양강 각각 20g, 황단 540g, 참기름 1,500g. ○ 위의 약들을 운모, 염초, 혈갈, 몰약, 유향, 사향, 황단, 염화는 내놓고 나머지 약은 썰어서 기름에 7일 동안 담가두었다가 약한 불에 달이는데 백지와 부자가 누렇게 되었을 때 베천으로 짜서 찌꺼기를 버리고 다시 졸인다. 여기에 황단 등 8가지 약을 부드럽게 가루내어 넣고 버드나무주걱으로 쉬임없이 저으면서 달여 고약을 만드는데 물에 떨구어보아 구슬처럼 될 때까지 달인다. 이것을 사기그릇에 담고 그 위에 수은을 펴놓는다. 쓸 때마다 수은을 밀어놓고 꺼내서 쓴다. 여러 가지 옹저(癰疽)와 창종(瘡腫)에 붙이거나 먹으면 신기하게 낫는다[국방]. [註] 수은은 독성이 세므로 쓰는 양에 주의해야 한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족소양담경의 순행[足少陽膽經流注] 418
[심병(審病)] 5장은 속을 지키는 것이다[五臟者中之守] 418
[한(寒)] 상한병이 나으려고 하는 것[傷寒欲解] 418
[짐승(獸部)] 미후(??, 잔나비) 미후두골(??頭骨) 418
[벌레(蟲部)] 하마(蝦?) 418
[눈(眼)] 검경정통(瞼硬睛痛) 417
[천지운기(天地運氣)] 1년 중의 5운[歲中五運] 417
[하(下)] 설사[下] 417
[부인(婦人)] 해산 후의 구역[産後嘔逆] 417
[소아(小兒)] 냉감(冷疳) 417
[소아(小兒)] 체이(滯?) 417
[풀(草部)] 석위(石韋) 와위(瓦韋) 416
[한(寒)] 맥이 세게 뛰지 않으면 설사시키지 못한다[脈不鼓擊不可下] 416
[잡방(雜方)] 운모고(雲母膏) 416
[부인(婦人)] 해산할 때와 태반을 버리는 데 좋은 방향[安産藏胎衣吉方] 416
[진맥(診脈)] 이경맥(離經脈) 415
[제창(諸瘡)] 침음창(浸淫瘡) 415
[소아(小兒)] 젖을 떼는 법[斷乳] 415
[탕액서례(湯液序例)] 열증약은 뜨며 자라게 한다[熱浮長] 415
[과실(果部)] 내자(柰子) 415
[풀(草部)] 목단(牧丹, 모란뿌리) 414
[침구(針灸)] 몸조리하는 방법[調養法] 414
[눈(眼)] 신수동통(神祟疼痛) 414
[맥(脈)] 6부(六腑)의 맥(脈) 414
[맥(脈)] 침뜸치료[鍼灸法]/맥 414
[천지운기(天地運氣)] 6병년(六丙年)은 만연(漫衍)의 해[六丙年漫衍之紀] 414
[심병(審病)] 갓 생긴 병인가 오래된 병인가를 알아내는 법[占新久病] 414
[제창(諸瘡)] 주피추창(走皮#瘡) 414
[잡방(雜方)] 산우죽(山芋粥) 414
[소아(小兒)]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414